본문 바로가기
GM Library/★ 기말시험 Data

방송대 방통대 구비문학의세계 기말시험 2016년도 1학기 4학년 / 올에이클래스 기출문제 모의고사

by PYO, JUNWHAN / ΛΙΙΛ™ 2024. 4. 20.
0-썸네일-구비문학의세계-기말-16-1-4
0-썸네일-구비문학의세계-기말-16-1-4
2016 학년도  1 학기  4 학년  35 문항
구비문학의세계
시험종류   :기말시험
출제위원   :방송대 박종성
출제범위   :교재 및 강의 전 범위
자료출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웹앱제작   :올에이클래스 김현수
36다음 중 구비문학의 특징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
해설)
37이야기 단위담에 있어서 주체의 움직임의 의도를 유형화하는 기본 범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해설)
38다음 중 구비설화의 일반적인 변이원인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해설)
39다음 중 '죽령竹嶺 산신山神 다자구 할머니' 전승을 포괄할 수 있는 신화 유형은?
해설)
40다음 중 한국 신화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해설)
41제주도 <삼을나 전승>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해설)
42다음 중 한국 전설에서 확인할 수 있는 양상과 거리가 것은?
해설)
43다음 중 민담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해설)
44다음 중 중국의 <곤ㆍ우ㆍ계 신화>와 가장 관련이 없는 것은?
해설)
45우리나라에 전승되는 명태조 주원장 전설의 특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해설)
46민담의 서두와 결말의 형식이 갖는 기능으로 잘못된 것은?
해설)
47민담 <구렁이와 꾀 많은 신부>에서 구렁이가 승천하기 위해 활용하는 매개로 가장 거리가 것은?
해설)
48한국 무속에서 망자의 넋을 천도하는 오구굿에서 핵심적 기능을 담당하는 신은?
해설)
49다음 중 제주도 무속에서 '신청울림'과 관련된 무구는?
해설)
50다음 중 무가의 특징으로 잘못된 것은?
해설)
51다음 중 전국적인 전승을 보이지 않고 특정지역에서만 전승되는 서사무가는?
해설)
52다음 중 무가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해설)
53다음 내용은 어떤 무가 작품에 대한 것이다. 어떤 작품인가?
이 서사무가는 곡종신(穀種神)으로서 문도령, 곡모신(穀母神)이면서 생산 지모신(地母神)인 자청비, 그리고 목축의 신으로서 정수남의 근본을 풀어낸 생산신 신화이다.
해설)
54경기도 오산지역에서 전승되는 창세신화에서 인간세상을 나누어 맡아 다스리는 두 주인공의 명칭은?
해설)
55다음 중 희곡무가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해설)
56다음 중 동해안 거리굿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해설)
57다음은 어떤 노동요를 설명한 것인가?
다른 창곡이나 다른 가사로 된 노래는 거의 부르지 않으며, 부른다면 예외적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기능ㆍ창곡ㆍ가사가 서로 고정적으로 결합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해설)
58다음은 어떤 민요에 관한 설명인가?
산에 나무하러 가서 부르는 벌채노동요로, 나무꾼이 부르는 독창 형식의 노래이다. 혼자 하는 노래이기에 율격이 엄격하지 않다. 대체로 4음보로 이루어져 있고, 경북 지방에서는 [가마귀타령]이라고도 한다.
해설)
59다음 사설은 노동요 사설의 어떤 역할에 해당하는 것인가?
진담뱃대 쌈지는 우리할부지 노리개/모밟자 모밟자 노루개하고 모밟자
우루룽부루룽 물레질 우리할매 노리개/모밟자 모밟자 노루개하고 모밟자
우리아부지 노리개 지개목발이 노리개/모밟자 모밟자 노루개하고 모밟자
해설)
60다음은 민요의 어떤 가창방식을 설명한 것인가?
이 방식으로 부르는 민요는 민요의 가장 오랜 형태로 간주되고 있다. 맨 처음에는 의미 없는 후렴만 여럿이 같이 부르다가 의미 있는 말이 삽입되기 시작했고, 차츰 의미 있는 말의 비중이 커졌다. 일하거나 춤추는 사람들이 후렴 이상의 것을 노래하기에는 벅찬 노동요나 무용유희요에서는 이런 방식이 계속 유지되었다.
해설)
61다음 중 판소리의 가창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해설)
62다음 중 판소리의 구성과 문체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해설)
63다음 중 가면극의 공연장소와 극중 장소의 관계에 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해설)
64한국의 전통극 가운데 기존 관념을 가장 강하게 부정하고 파괴하는 충격을 보여주는 것은?
해설)
65다음 중 가면극의 공연 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해설)
66다음 중 꼭두각시놀음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해설)
67다음 중 꼭두각시놀음과 관련이 없는 거리는?
해설)
68다음 중 전통재담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해설)
69다음 중 속담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해설)
70다음 중 수수께끼의 기능과 문학적 의의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해설)
문제답안
44224244132411312111323321E2412342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