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M Library/★ 기말시험 Data

방송대 방통대 구비문학의세계 기말시험 2014년도 1학기 4학년 / 올에이클래스 기출문제 모의고사

by PYO, JUNWHAN / ΛΙΙΛ™ 2024. 4. 20.
0-썸네일-구비문학의세계-기말-14-1-4
0-썸네일-구비문학의세계-기말-14-1-4
2014 학년도  1 학기  4 학년  35 문항
구비문학의세계
시험종류   :기말시험
출제위원   :방송대 박종성
출제범위   :교재 및 강의 전 범위
자료출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웹앱제작   :올에이클래스 김현수
36다음 중 설화의 전승에 있어 변이가 일어나는 일반적인 원인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해설)
37다음 중 구비문학의 특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해설)
38단위담에 있어서 주체의 움직임의 의도를 유형화하는 범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해설)
39다음 중 무조신화(巫祖神話)의 특징으로 올바른 것은?
해설)
40다음 중 한국신화의 사유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해설)
41다음 중 신화와 역사의 관련성을 고찰할 수 있는 신화 자료는?
해설)
42다음 중 전설을 발생목적에 따라 분류할 때 적절하지 않은 것은?
해설)
43우리나라에서 주로 전승되는 중국 천자 전설의 주인공에 해당하는 인물끼리 바르게 연결된 것은?
해설)
44다음 중 민담의 일반적 형식으로 보기에 가장 어려운 것은?
해설)
45다음 중 민담 <구렁이와 꾀 많은 신부>의 후반부에 연결될 수 있는 민담은?
해설)
46다음 중 한국 무가의 특징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
해설)
47다음 중 천부(天父)와 지모(地母)의 결연으로 시조가 탄생하는 방식의 신화에 해당하는 것은?
해설)
48다음 중 한국무속의 신관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해설)
49다음 중 서사무가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해설)
50서사무가에서 확인되는 초월계와 인간계에 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해설)
51다음에 제시된 무가 사설은 무가의 어느 갈래에 속하는 것인가?
본향양산 뵈오련하고 졍막허니 산에 올나
호렴 단신에 구비마다 돌아든이
설상에 매화진 이 나뷔 본 듯
해설)
52다음 중 교술무가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해설)
53다음 내용은 어느 지역 창세신화의 특징에 해당하는가?
창세신화의 특징은 우선 경쟁의 주체가 미륵과 석가의 두 거인신으로 설정되어 있다는 데 있다. 이 점은 다른 지역과 대비할 때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경쟁주체가 미륵과 석가로 설정됨으로써 부모의 존재 역시 나타나지 않게 되었는데 이는 이들이 태초에 이미 존재하는 거인신이어서 부모의 혈통을 통해 신성성을 굳이 견인할 필요가 없었기 때문이다.
해설)
54다음 내용은 어느 지역 창세신화의 특징에 해당하는가?
이 지역의 자료는 모두 당금애기의 한 부분으로서 존재한다. 즉 석가가 애가슴을 취한 뒤, 아들 삼형제의 출생을 예언하고 제석궁으로 길을 떠나는 과정에서 미륵과 잠자기 내기를 하여 속임수로써 조선국을 차지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기도 하고 미륵과 인세차지경쟁에서 승리한 석가가 인세차지 법도를 온전히 알기 위해 당금아기와 결연한다는 것도 있다.
해설)
55다음 서사무가 중 <주몽신화>와의 관련성이 확인되는 작품은?
해설)
56다음은 어떤 서사무가 작품에 관한 것인가?
신화의 핵심은 부부가 시련을 극복하고 가정을 이루어 집을 짓고 의복을 만들며 살아간다는 것으로서 부부간의 애정을 이야기한 것이다. 따라서 이 서사무가는 부부서사로서 가정의 핵심은 부부이고 부부사이의 시련을 극복하고 행복한 가정을 유지하는 데에는 부부간의 신뢰와 애정이 가장 중요함을 말해주는 가정신화의 성격을 지닌다.
해설)
57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서사무가는?
소천국과 백주 사이에서 태어난 여섯째 아들이 용왕의 막내딸과 결혼하고 강남 천자국에 들어가서 무용(武勇)을 떨쳐 전란을 평정하고 다시 제주도에 와서 자기를 내어버린 부모를 놀라서 죽게 하고 당신(堂神)이 된다는 내용이다.
해설)
58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서사무가는?
<안락국태자경>과 같은 불전설화를 저본으로 하여 형성된 서사무가로서 제주도 서사무가 형성을 실증적으로 보여주는 자료로서 중요할 뿐만 아니라 고소설 <안락국전>과도 같은 저본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서사무가와 불전 설화 및 고소설과의 교섭관계를 밝히는데 중요한 시사를 주는 귀중한 자료이다.
해설)
59다음 중 희곡무가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해설)
60다음 중 동해안 거리굿에 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해설)
61다음은 어떤 민요에 관한 설명인가?
한반도 전역에서 전승되는 농업노동요로, 교환창으로 부르는 노래이다. 후렴 없이 한 사람씩 혹은 여럿이 제창으로 돌아가면서 주고받아 나아가며 부르기 때문에 가사가 매우 다채롭다. 이 민요는 남녀 교환창으로 부르기도 하는데, 이러한 사실은 이 민요가 원래 농사가 풍성하게 되기를 바라는 주술적인 행위의 하나로 불렸으리라는 것과 관련이 있다.
해설)
62다음 민요 사설은 민요의 어떤 기능이 강조된 것인가?
유월이라야 새벽달에 처녀둘이가 도망가네
석자수건을 목에걸고 총각둘이가 뒤따르네
모시야적삼아 반적삼에 분통같으나 저젖보소
많이야보며는 병이되고 담배씨만침만 보고가소
해설)
63다음 중 비기능요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해설)
64다음 설명의 (            )에 들어갈 용어가 순서대로 바르게 묶인 것은?
사설의 내용을 잘 전달하기 위한 명창의 (            )와/과 명창의 구연의욕을 북돋우고 분위기를 흥겹게 만드는 고수와 청중의 (            )이/가 잘 조화되어야 좋은 소리판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해설)
65다음 중 판소리의 가창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해설)
66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탈놀이는 무엇인가?
山主는 먼저 부정이 없는 木手를 골라 서낭대와 내림대를 마련한다. 정월 초이틀 아침에 山主와 무녀와 광대들이 서낭당에 모여 祭儒를 차려 놓고 내림대를 세우고 강신을 빈다. 놀이의 첫 마당은 '주지놀음'으로 벽사를 위한 儀式舞로서의 사자춤이다. 둘째 마당은 무녀가 주연하는 '삼석놀음'이었다고 하나 지금 그 가면과 춤은 전하지 않는다.
해설)
67다음 중 탈놀이 공연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해설)
68다음 중 탈놀이의 공연미학적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해설)
69다음 중 탈놀이에서 비판하는 대상으로 보기 어려운 계층은?
해설)
70다음 중 속담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해설)
문제답안
2332421234213441112B4432IK34132423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