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M Library/★ 기말시험 Data

방송대 방통대 구비문학의세계 기말시험 2015년도 1학기 4학년 / 올에이클래스 기출문제 모의고사

by PYO, JUNWHAN / ΛΙΙΛ™ 2024. 4. 20.
0-썸네일-구비문학의세계-기말-15-1-4
0-썸네일-구비문학의세계-기말-15-1-4
2015 학년도  1 학기  4 학년  35 문항
구비문학의세계
시험종류   :기말시험
출제위원   :방송대 박종성
출제범위   :교재 및 강의 전 범위
자료출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웹앱제작   :올에이클래스 김현수
36다음 중 구비문학에 대한 일반적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해설)
37이야기 단위담에 있어서 주체의 움직임의 의도를 유형화하는 범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해설)
38설화의 전승에 있어 변이가 일어나는 일반적인 원인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해설)
39다음 중 한국 신화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해설)
40다음 중 종지용출(從地聳出)의 양상으로 시조가 출현하는 신화는?
해설)
41제주도 <삼을나 전승>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해설)
42다음 중 한국 전설에서 확인할 수 있는 양상과 거리가 것은?
해설)
43다음은 어떤 전설에 관한 설명인가?
함경북도 화령 경원 등지에서 채록되었는데 <야래자 전설>과 <천자명당>전설 그리고 <천자검>설화가 연접되어 있고 고구려 <주몽신화>와 만족의 애신각라(愛新覺羅) 시조신화인 <삼천녀(三天女)>설화와도 교섭관계를 가지고 있어 비교신화학의 측면에서 매우 중요시되는 자료이다. 함경북도 회령에서 서쪽으로 15리 밖에 현무암(玄武巖)이란 동네가 있다. 그 곳은 오지암(鰲池巖), 오제암(五啼巖) 또는 오제암(烏啼巖)이라고 하여 이 전설의 주인공의 발상지로도 알려져 있다.
해설)
44다음 중 민담의 형식에 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해설)
45다음 중 민담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해설)
46다음은 어떤 무가에 관한 설명인가?
주인공이 신으로 좌정되어 제향을 받게 되는 과정을 서술한다. 따라서 개성적인 주인공이 등장되어야 하고 그 주인공의 행적을 중심으로 사건이 전개되며, 결말에 가서 주인공은 신으로 좌정한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해설)
47다음 중 무가에 나타난 신관(神觀)에 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해설)
48다음 중 무가의 특징으로 잘못된 것은?
해설)
49다음 설명은 어떤 서사무가와 관련이 되는가?
이 신은 그 명칭이 불교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무속에서는 농경생산신의 기능을 갖는다. 이 신과 관련된 서사무가에 의하면 당금애기가 이 신과 인연을 맺어 낳은 삼형제가 신으로 좌정한다는 내용이 설정되어 있다.
해설)
50다음 설명은 굿의 유형 가운데 어디에 속하는 것인가?
이 巫儀에는 성주신, 조상신 등 가정신과 제석신등 생산신에 대한 굿거리가 비중이 크다. 동해안 별신굿은 마을 단위로 행하여지는 정기적 무의인데 마을주재신인 골매기신을 모셔 굿당에 봉안하고 풍어를 기원하는 의례로서 세습무들이 주재하고 있는데, 여기서는 여러 가지 재담과 재미있고 다채로운 굿놀이가 연행된다.
해설)
51다음 중 무속신이나 무가에 나타난 관념을 설명한 것으로 잘못된 것은?
해설)
52다음 중 서정무가에 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해설)
53제주지역에서 전승되는 창세신화에서 인간세상을 차지하기 위해 대결하는 두 주인공의 명칭은?
해설)
54다음 중 동해안 거리굿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해설)
55다음 중 희곡무가에 속하지 않는 것은?
해설)
56다음 중 희곡무가의 주제적 특징으로 옳은 것은?
해설)
57다음은 어떤 민요에 관한 설명인가?
산에 나무하러 가서 부르는 벌채노동요로, 나무꾼이 부르는 독창 형식의 노래이다. 혼자 하는 노래이기에 율격이 엄격하지 않다. 대체로 4음보로 이루어져 있고, 경북 지방에서는 [가마귀타령]이라고도 한다. 나무를 하던 이들은 주로 머슴이었기에 그들의 신세 한탄이 주가 되어 있다. 예컨대 잠시도 쉴 틈이 없는 일에서 벗어나 인간답게 살아 보고자 하는 욕구 및 인간의 순수한 본능인 성적 욕망 등이 잘 나타나고 있다.
해설)
58다음 중 민요의 가창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해설)
59다음은 민요의 어떤 가창방식을 설명한 것인가?
이 방식으로 부르는 민요는 민요의 가장 오랜 형태로 간주되고 있다. 맨 처음에는 의미 없는 후렴만 여럿이 같이 부르다가 의미 있는 말이 삽입되기 시작했고, 차츰 의미 있는 말의 비중이 커졌다. 일하거나 춤추는 사람들이 후렴 이상의 것을 노래하기에는 벅찬 노동요나 무용유희요에서는 이런 방식이 계속 유지되었다.
해설)
60다음 중 민요에 나타난 민중의식을 설명한 것으로 잘못된 것은?
해설)
61다음 중 판소리의 가창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해설)
62다음 중 판소리의 미학적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해설)
63다음 중 판소리의 구성과 문체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해설)
64다음 중 가면극의 공연장소와 극중 장소의 관계에 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해설)
65다음 중 가면극의 공연 방식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해설)
66한국의 전통극 가운데 기존 관념을 가장 강하게 부정하고 파괴하는 충격을 보여주는 것은?
해설)
67다음 중 꼭두각시놀음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해설)
68다음 중 재담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해설)
69다음 중 표현형 속담의 사례에 해당하는 것은?
해설)
70다음 중 수수께끼의 기능과 문학적 의의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것은?
해설)
문제답안
3133344322144444321211233233134221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