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M Library/☆ 기말시험 Data

방송대 방통대 국문학의역사 기말시험 2015년도 1학기 2학년 / 올에이클래스 기출문제 모의고사

by KIM, HYUNSU / ΛΙΙΛ™ 2024. 4. 20.
0-썸네일-국문학의역사-기말-15-1-2
0-썸네일-국문학의역사-기말-15-1-2
2015 학년도  1 학기  2 학년  35 문항
국문학의역사
시험종류   :기말시험
출제위원   :방송대 박종성
출제범위   :교재 및 강의 전 범위
자료출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웹앱제작   :올에이클래스 김현수
36다음 중 고대문학 시기의 특징에 해당하는 것은?
해설)
37다음 중 고대에서 중세로의 이행기문학 시기의 특징에 해당하는 것은?
해설)
38다음 중 고대문학 시기 영웅서사시의 문학담당층으로 볼 수 있는 계층은?
해설)
39다음 중 중세전기문학 제1기(삼국ㆍ남북국시대)의 문학현상에 해당하는 것은?
해설)
40다음 중 중세전기문학 제1기(삼국ㆍ남북국시대)의 대표로 평가받는 현전(現傳) 작품은?
해설)
41다음 중 중세전기문학 제1기(삼국ㆍ남북국시대)의 주된 문학담당층에 해당하는 계층은?
해설)
42다음 중 중세전기문학 제2기(고려전기)의 주된 문학담당층에 해당하는 계층은?
해설)
43다음 중 중세전기문학 제2기(고려전기)의 문학현상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해설)
44다음 중 중세전기문학 제1기의 특징에 해당하는 것은?
해설)
45다음 중 중세후기문학 제1기(고려후기)의 시작과 관련되는 역사적 사건은?
해설)
46다음 중 중세후기문학 제1기(고려후기) 문학사 시기의 특징 가운데 민족사 재인식의 양상을 드러내는 작품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해설)
47다음 내용은 무엇에 관한 설명인가?
이것은 우리말 노래 특히 민요에 다가간 한시이다. 중세에 들어서면서 나타난 한시와 우리말 노래의 공존을 고려후기 신흥사대부가 다시 마련해 중세후기문학의 새로운 창조에 크게 기여했다. 민요를 한시에서 근접시키는 방안의 하나로 한편으로는 이것을 창안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우리말 노래가 한시와 같은 격조를 갖출 수 있게 하는 시조를 만들어냈다.
해설)
48다음은 어떤 작품에 대한 설명인가?
이 작품은 몇 사람의 합작이거나 오잠의 작품이라고도 한다. 여자, 상대방 남자, 다른 남자, 여자가 주고받는 말을 다섯 줄로 엮어 사건을 전개하고, 그 뒤에 일어난 일까지 말한 수법은 뛰어나다. 각계각층의 사람들이 하는 짓이 서로 다르지 않다고 하는 세태 묘사가 또한 볼 만하고, 풍자로 이해할 수 있다.
해설)
49다음 중 중세후기문학 제2기(조선전기)의 특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해설)
50다음은 경기체가 갈래의 어떤 작품에 대한 설명인가?
이 작품은 문인의 능력을 자랑하는 데서 시작해서 질탕한 놀이를 벌인다고 하는 데까지 나아가는 단계적인 구성을 갖추었다. 이황은 이것이 비록 문인의 입에서 나왔다 하더라도 너무 들떠 있으며 음란하기조차 한 기풍을 지닌 점이 불만이라고 했는데, 그러한 지적은 뒷부분으로 갈수록 더욱 타당하다. 그렇다고 해서 전편이 퇴폐적이라고 할 수는 없다. 오히려 최씨 무신정권에 참여하면서 새롭게 진출한 문인들이 신흥사대부 선구자의 모습을 보여주면서 득의에 찬 기상을 자랑스럽게 나타냈다고 보는 편이 타당하다.
해설)
51다음 중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문학의 특징에 해당하는 것은?
해설)
52다음 중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문학의 특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해설)
53다음은 어떤 문학 현상에 관한 설명인가?
심성(心性)을 의인화한 작품군이 나타난 것이 더 큰 변화이다. 사대부의 사고방식이 사물의 의의를 중요시하던 단계를 넘어서서 심성의 원리를 탐구하는 방향으로 바뀌자 고려 때에는 없던 새로운 갈래가 나타났다. 심성의 본체를 의인화해서 왕국의 흥망을 이야기한 것이 그 전형적인 형태이다.
해설)
54다음 설명과 관련이 있는 향가 작품은?
한시는 설명이지만, 향가는 참여이다. 두 공신이 되살아나 움직이고 말하는 현장의 감격은 한시가 감당하지 못해, 직접 참여하는 향가가 필요했다. 극중 인물인 두 공신, 극중 인물의 모습을 하고 놀면서 극중 인물의 대사를 하는 공연자, 그 광경을 보고 감격하는 관중의 관계를 잘 나타냈다. 극중 인물이 공연자에게 말을 하는 특이한 공연방식까지 생생하게 전했다.
해설)
55다음 중 방외인 문학과 가장 거리가 사항은?
해설)
56다음 중 중세후기문학 제2기(조선전기) 문학사 시기의 한문학의 주된 흐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해설)
57다음 중 위항문학과 거리가 가장 문학론은?
해설)
58다음 중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문학의 양상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해설)
59다음은 위백규의 어떤 작품에 대한 설명인가?
그는 스스로 농사를 지은 것은 아니지만, 농촌에서 일생을 보내면서 농민과 거의 같은 처지에서 살아가야 했던 사대부의 절실한 경험을 시조로 나타냈다. 농민의 노래를 시조에다 담고자 한 것도 그런 노력의 하나이다. 작품 전편에서 유식한 한자어는 전혀 사용하지 않고 농민이 실제로 주고받는 말을 방언 그대로 살려서 민요다운 표현을 했다. 설명이나 묘사는 제거하고, 일하는 사람의 노래를 그대로 옮겨 놓았다.
해설)
60다음은 시조 작가 가운데 누구에 관한 설명인가?
호화로운 정원을 꾸며 예사 사대부로서는 바랄 수 없는 풍류를 마음껏 즐기면서 경치ㆍ흥취ㆍ이치 가지 가운데 오직 흥취를 존중해 극도로 세련되게 표현하는 작품세계를 보여주었다. 경치를 통해 이치를 찾는 데는 관심을 가지지 않으면서 흥취를 최대한 확대시킨 특징이 있다. 마음을 바르게 하는 도리를 찾는다든가 살아가는 괴로움을 토로한다든가 하는 주제의식에서 벗어나, 극도로 세련된 풍류의 세계를 미묘하게 표현하기만 해서 후대에 순수시라고 하는 것과 일치하는 경지에 이르렀다.
해설)
61다음 중 소악부(小樂府)의 문학사적 의의에 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해설)
62고려 말과 조선 초에는 상당한 변화를 겪게 되는데, 이 시기의 사회와 문학적 변동 사항을 잘못 서술한 것은?
해설)
63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문학에 있어서 문학담당층의 확대현상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해설)
64다음은 누구의 어떤 글에서 주장한 것인가?
말이 입에서 나와 글을 이루는 중국 사람의 공부는 그 고유한 것을 바탕 삼아 나아가므로 정신을 많이 허비하지는 않는다. 세상에서 우뚝한 재주를 앉아서도 발휘할 수 있다. 그런데 우리 동방 사람은 말이 중국과 다르므로, 타고난 재주가 밝고 예리하지 않다면 천백 배나 노력해도 공부하는 바가 어찌 성공을 거둘 수 있겠는가? 다만 일심지묘(一心之妙)는 천지사방에서 털끝만큼도 차이가 없으니, 득의한 작품에 있어서야 어찌 스스로를 낮추어서 그네들에게 많이 양보하겠는가?
해설)
65다음 내용은 무엇에 관한 설명인가?
이것은 가창가사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 잡가 또한 직업적인 소리패가 부르며 흥행을 하던 공연종목인데, 소리패의 지체가 한 등급 낮고 음악이 민속악이라고 해서 따로 구분했다. 이것의 명칭에는 천하게 여기는 뜻이 나타나 있다. 이것은 가창가사와 함께 가사의 변형에 속하면서 가사를 해체하면서 등장한 독자적인 갈래이기도 한 양면성을 지녔다. 서사적 성향이 애정가사나 가창가사에서보다 더욱 두드러진 것이 문학적인 특징이다. 이것의 대부분은 판소리에서 가져왔다. <소춘향가>(小春香歌)와 <십장가>(十杖歌)는 <춘향가>의 한 대목이고, <적벽가>(赤壁歌)는 같은 이름의 판소리에서, <제비가>는 <흥부가>에서 따왔다.
해설)
66다음 중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문학사에서 중인들의 문학행위 가운데 상업적 이윤창출과 거리가 것은?
해설)
67다음 중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문학사에서 확인되는 구비서사시의 세 가지 양상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해설)
68다음 중 경기체가를 창작하고 향유한 주된 계층은?
해설)
69다음은 어떤 작품에 대한 설명인가?
이것의 속편이라고 할 수 있는 작품 또한 국문으로 기록되어 있어, 광해군에서 인조로 정권이 교체된 사건에 국문본 독자들의 관심이 집중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게 한다. 인목대비 친정 쪽의 후손이 짓고 부녀자들 사이에서 읽히지 않았던가 싶은 이 기록은 사실 자체의 기록에서는 더 멀어진 대신에 짜임새를 더 잘 갖추었다.
해설)
70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작품은?
'악부'와 '야담'(野談)은 명칭이 전혀 다르지만 상통하는 성격을 지니고 있다. 민간전승을 한문 창작에서 받아들여 노래 작품을 만든 것이 '악부'이고, 이야기를 한 것이 '야담'이다. 그 둘 다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에 대거 나타나 실체가 뚜렷해졌으므로 명칭이 필요했다. '악부'는 중국에서 가져온 것을 썼지만, '야담'이라는 말은 당대의 한국에서 만들어냈다. 용어의 소종래로 그렇게까지 달라고 지칭하는 대상은 짝을 이룬다. 민간전승을 대폭 수용해 한문학이 민족문학으로 적극적인 구실을 하도록 하는 과업을 함께 수행하면서 노래와 이야기인 점이 서로 다를 따름이다.
해설)
문제답안
23444141A2442413322231333243144123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