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M Library/☆ 기말시험 Data

방송대 방통대 국문학의역사 기말시험 2016년도 1학기 2학년 / 올에이클래스 기출문제 모의고사

by KIM, HYUNSU / ΛΙΙΛ™ 2024. 4. 20.
0-썸네일-국문학의역사-기말-16-1-2
0-썸네일-국문학의역사-기말-16-1-2
2016 학년도  1 학기  2 학년  35 문항
국문학의역사
시험종류   :기말시험
출제위원   :방송대 박종성
출제범위   :교재 및 강의 전 범위
자료출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웹앱제작   :올에이클래스 김현수
36다음 중 원시문학의 특징과 가장 관련이 없는 것은?
해설)
37다음 중 고대문학의 특징과 관련 있는 것은?
해설)
38다음 중 고대에서 중세로의 이행기문학 시기의 특징에 해당하는 것은?
해설)
39다음 작품들은 어느 시기 문학의 특징을 지니고 있는가?
여수장우중문시(與隋將于仲文詩), 광개토대왕릉비문, 향악잡영오수
해설)
40다음 중 중세전기문학 제1기의 특징에 해당하는 것은?
해설)
41다음 중 중세전기문학 제2기의 특징에 해당하는 것은?
해설)
42다음 중 중세전기문학 제2기의 특징에 해당하는 것은?
해설)
43다음 중 중세후기문학 제1기의 문학현상과 관련이 있는 것은?
해설)
44다음은 어떤 작품에 대한 설명인가?
열전에는 지배질서와 어긋나는 내용이 적지 않게 들어가 있으며, 설화를 소재로 한 작품이 큰 구실을 한다. 인물의 행적을 실제로 다룬 데서는 겉으로 표방한 주장과는 다른 이면적인 주제가 발견된다. 문장도 격식과 품위를 유지하기만 하지 않고, 미천한 인물이 나날이 겪는 세상살이까지 박진감 있게 묘사해서 실감을 자아낸다.
해설)
45다음 중 중세후기문학 제1기의 특징에 해당하는 것은?
해설)
46다음 중 중세후기문학 제1기의 특징에 해당하는 것은?
해설)
47다음 중 중세후기문학 제1기의 작품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해설)
48다음은 무엇에 관한 설명인가?
이것은 궁중에서 잔치를 하고 노는 자리에서 구경하던 공연물이다. 그런데 이것은 우아한 기풍과는 대조가 되게 상스럽거나 음란하고, 하층의 생활감정을 그대로 나타냈다고 할 수 있다. 그 가운데 상당수는 조선시대에 남녀상열지사(男女相悅之詞)로 지칭되어 배격의 대상이 되었다. 그렇지 않은 것들이라도 궁중에서 부르기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이것은 장 또는 연이 나누어져 있고 여음이 개재된 형식이 대부분이다. 한 줄을 이르는 토막 수는 세 토막이 흔하다.
해설)
49다음은 어떤 작품에 관한 설명인가?
이것을 지어 부른 사람은 금의에게 뽑혀서 과거에 급제하고, 당대 명사들과 함께 노는 것을 자랑스럽게 여기는 문인이었을 것이다. 그 뒤 장마다 다른 사람이 지어 불러 돌림노래를 만들었다고 생각된다. 여덟 사람이 한 장씩 지어 모두 8장이 되었다고 본다. 이것은 문인의 능력을 자랑하는 데서 시작해서 질탕한 놀이를 벌인다고 하는 데까지 나아가는 단계적인 구성을 갖추었다. 이황은 이것이 비록 문인의 입에서 나왔다 하더라도 너무 들떠 있으며 음란하기조차 한 기풍을 지닌 점이 불만이라고 했다.
해설)
50다음 중 중세후기문학 제2기의 특징에 해당하는 것은?
해설)
51다음은 어떤 문학현상을 설명하는 것인가?
- 강복중(姜復中, 1563∼1639)은 시골에 묻혀 일생을 보낸 선비이면서도 시국의 움직임에 대한 직접적인 관심을 시조를 써서 나타냈다. 인조반정이 일어나자 <계해반정가>(癸亥反正歌) 6수를 지어 거사를 찬양했다.
- 위백규는 <농가구장>에서 유식한 한자어는 전혀 사용하지 않고 농민이 실제로 주고받는 말을 방언 그대로 살려서 민요다운 표현을 했다. 설명이나 묘사는 제거하고, 일하는 사람의 노래를 그대로 옮겨 놓았다.
해설)
52다음은 어떤 작품에 관한 설명인가?
건국이 민심에 받들어 이루어진 내력을 노래로 만들어 불러야 당대의 조정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확신과 사명감을 가질 수 있었다. 그 노래를 불러 민심을 감화시키는 훈민에 힘쓰는 것이 또한 긴요한 과제였다. 이것을 노래로 부를 때 곡명은 <여민락>(與民樂)이라고 했다. 감화가 백성에게까지 미쳐 함께 즐기게 될 것을 기약해서 붙인 이름이다.
해설)
53다음은 어떤 문학현상에 관한 설명인가?
이황은 말안장 모양을 하고 있는 바위 이름을 따서 한시의 제목을 <반타석>(盤陀石)이라고 했다. 흐르는 물과 멈추어 선 바위의 관계를 묘사하면서 험난한 세태에 휩쓸리지 않는 의연한 자세를 다짐하고, 세태에 따라 숨기도 하고 나타나기도 하지만 마음의 바른 도리는 변할 수 없다고 했다. 변하는 '기'가 부동한 '이'를 가릴 수는 있어도 넘어뜨릴 수는 없다고 했다.
해설)
54다음 중 중세후기문학 제2기의 특징에 해당하는 것은?
해설)
55다음은 어떤 문학현상에 관한 설명인가?
정희량은 자취를 감추기 전에 지었던 시문에서 방황하고 반발하는 심정을 짙게 나타냈다. 평생 동안 시에 힘썼다고 하지만 자기 마음을 가다듬지 않고 함부로 쏟아놓은 사연이라 스스로 광가(狂歌)라고 일컬었다. 문집이 전하고, <속동문선>에 실린 작품만 해도 열 편이나 되어 상당한 평가를 받았다 하겠으나, 임금을 무시하고 윤리를 어지럽히며 세상을 희롱하면서 공손하지 않게 굴었다는 윤리적인 지탄을 면하지 못했다.
해설)
56다음 중 중세후기문학 제1기의 시작과 깊은 관련이 있는 역사적 사건은?
해설)
57다음은 어떤 문학갈래에 관한 설명인가?
이것은 우리말 노래 특히 민요에 다가간 한시이다. 유행하던 우리말 노래를 한시로 옮긴 것을 중국의 용어를 가져와 사용하고 칠언절구의 짧은 형식을 택했다. 중세에 들어서면서 나타난 한시와 우리말 노래의 공존을 고려후기 신흥사대부가 다시 마련해 중세후기문학의 새로운 창조에 크게 기여했다. 그 둘을 한시에서 근접시키는 방안의 하나로 한편으로는 이것을 창안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우리말 노래가 한시와 같은 격조를 갖출 수 있게 하는 시조를 만들어냈다.
해설)
58다음은 어떤 작품에 대한 설명이다. (            )에 들어갈 작품으로 올바른 것은?
(            )와/과 (            )은/는 둘 다 구성이 치밀하고 성격묘사나 심리묘사의 방법을 적절하게 갖춘 것이 큰 장점이다. 우아한 문체로 흥미로운 사건을 만들어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어 소설의 격조를 높이면서 독자층 확대에 커다란 기여를 했다. 후대의 소설이 두 작품에서 마련한 전례를 이용하고자 한 것은 당연한 일이다. (            ) 계열, (            ) 계열, 그리고 그 둘을 합친 후속 작품이 계속 나와 녹책의 주류를 이루었다.
해설)
59다음 중 위항인들의 한시 창작과 가장 깊은 관련이 있는 것은?
해설)
60다음 내용은 어떤 문학작품과 관련이 있는가?
시조는 말로만 전하다가 없어지고 말 것이 아니라고 하고, 명공석사(名公碩士), 여정규수(閭井閨秀), 무명씨 등의 작품을 모두 모아놓아야 한다고 했다. 위항시정의 음란한 말과 외설스러운 사설을 나타내는 만횡청류(蔓橫淸類)라고 한 사설시조도 버리지 말고 함께 돌보아야 한다고 했다.
해설)
61다음 중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문학의 특징에 해당하는 것은?
해설)
62다음 중 악장, 경기체가, 가사, 시조의 관계 양상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해설)
63다음은 어떤 문학현상과 관련되는 작품들인가?
- 박사형의 <남초가>
- 홍계영의 <희설>
- 구강의 <북새곡>
- 민우룡의 <금루사>
해설)
64다음은 어떤 가사 작품에 관한 설명인가?
조선왕조의 왕도가 장사꾼의 도시로 바뀌어 전에 없던 활기를 띠게 된 변화를 선명하게 나타낸 내용이어서, 조선 초기 건국공신들이 왕조의 번영을 기원하면서 한양을 칭송한 일련의 노래와 좋은 대조를 이룬다. 15세기의 <화산별곡>(華山別曲)과 19세기의 이 작품을 비교해보면, 조선왕조사의 서두와 결말에 자리 잡은 사대부문학과 시민문학의 차이가 선명하게 드러난다.
해설)
65다음과 같은 문학론을 전개한 사람은?
가치의 등급에 따라 상하의 서열이 정해져 있다는 것들이 입각점을 바꾸면 안팎이 반대가 된다고 했다. 천지(天地)라고 한 하늘과 땅, 인물(人物)이라고 한 사람과 사람 이외의 것들, 성정(性情)이라고 하는 마음의 바탕과 작용, 화이(華夷)라고 하는 문명권의 중심과 주변, 시가(詩歌)라고 한 한시와 우리말 노래, 귀천(貴賤)이라고 하는 신분이 모두 내외의 관계를 가진다고 했다. 뒤에 쓴 말도 안일 수 있어 앞에 쓴 말을 밖으로 삼는다고 했다.
해설)
66다음은 정약용의 한시이다. (            )에 공통으로 들어갈 용어로 적절한 것은?
興到卽運意      흥이 나면 뜻을 움직이고,
意到卽寫之      뜻이 나타나자 바로 쓴다.
我是朝鮮人      나는 조선 사람이어서
甘作(            )      (            )를 즐겨 짓는다.
해설)
67다음은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문학사 시기의 소설 유통에 관한 설명이다. 올바른 것은?
해설)
68다음 중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문학사 시기에서 세 가지 구비서사시의 갈래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해설)
69다음 중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문학사 시기의 민속극의 양상과 관련이 없는 것은?
해설)
70다음은 중세문학에서 근대문학으로의 이행기 제 1기(조선후기)의 문학담당층의 확대에 따른 변모 양상을 설명한 것이다. 올바른 것은?
해설)
문제답안
3414213434421232224341112143234114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