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M Library/☆ 기말시험 Data

방송대 방통대 국문학의역사 기말시험 2018년도 1학기 2학년 / 올에이클래스 기출문제 모의고사

by KIM, HYUNSU / ΛΙΙΛ™ 2024. 4. 20.
0-썸네일-국문학의역사-기말-18-1-2
0-썸네일-국문학의역사-기말-18-1-2
2018 학년도  1 학기  2 학년  35 문항
국문학의역사
시험종류   :기말시험
출제위원   :방송대 박종성
출제범위   :교재 및 강의 전 범위
자료출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웹앱제작   :올에이클래스 김현수
36다음 중 원시문학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해설)
37다음 중 고대문학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38다음 중 고대문학과 관련이 없는 것은?
해설)
39다음 중 중세전기문학 제1기(삼국ㆍ남북국 시대)에 나타난 사회적 변동을 설명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40다음 중 중세전기문학 제1기(삼국ㆍ남북국 시대)와 관련이 없는 것은?
해설)
41다음 중 중세전기문학 제1기(삼국ㆍ남북국 시대)의 특징을 설명한 내용으로 올바른 것은?
해설)
42다음 중 중세전기문학 제1기(삼국ㆍ남북국 시대)의 특징을 드러내고 있는 작품이 아닌 것은?
해설)
43다음 중 중세전기문학 제2기(고려전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44다음은 중세전기문학 제2기(고려전기)의 어떤 책에 대한 설명이다. 이 책의 제목은 무엇인가?
- 원본은 신라 때 최치원이 지었을 듯하고 고려로 넘어와 박인량 등에 의해 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 『해동고승전』이나 『대동운부군옥』 등을 통해 그 일부를 확인할 수 있다.
- 설화이거나 설화에 근거를 두고 다듬어 쓴 글이다. 대부분 짤막하나 최치원 이야기 한 편은 분량이 상당하다.
해설)
45다음 중 김부식의 『삼국사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46다음 중 중세후기문학 제1기(고려후기)에 나타난 사회적 변동을 설명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47다음 중 중세후기문학 제1기(고려후기)와 관련이 없는 것은?
해설)
48다음은 중세후기문학 제1기(고려후기)의 어떤 책에 대한 설명이다. 이 책의 제목은 무엇인가?
- 『삼국사기』의 시각을 바로잡고자 한 역사서이면서 설화집이자 고승전으로서의 성격도 지니고 있다.
- 불교가 민중 생활과 밀착되어 생동하는 구실을 해 온 것을 납득할 수 있게 하려고 불교설화를 적극 활용했다.
- 완성된 체계 같은 것을 추구하지 않았다.
해설)
49다음 중 '전(傳)'과 관련하여 중세후기문학 제1기(고려후기)에 나타난 현상을 설명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50다음 중 중세후기문학 제1기(고려후기)에 향유된 것으로 보이는 속악가사가 아닌 것은?
해설)
51다음 중 중세후기문학 제1기(고려후기)에 나타난 '경기체가'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해설)
52다음 중 중세후기문학 제2기(조선전기)에 나타난 문학 현상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53다음 중 ( A )에 들어갈 말로 적절한 것은?
훈민정음을 반포한 다음 해인 1447년 2월에 완성하고 그해 10월에 ( A )라는 책을 간행했다. 책에는 먼저 우리말 노래가 있고, 이어서 같은 사연이 한시로 표현되어 있다. 그 다음에는 역사적인 사실 또는 설화를 자료로 한 자세한 주해가 한문으로 적혀 있어 많은 분량을 차지한다. 이는 훈민정음 표기법이 아직 널리 보급되지 않은 것에도 이유가 있지만 왕조 창업을 칭송하는 노래는 네 자 네 줄을 기본으로 하는 시경체(詩經體)의 한시라야 한다는 관습을 따른 결과이다. 한문으로 쓴 주해는 노래한 사실을 다각도로 설명하면서 많은 설화를 수용했다.
해설)
54다음 중 중세후기문학 제2기(조선전기)와 관련된 것은?
해설)
55다음 중 중세후기문학 제2기(조선전기)에 나타난 방외인문학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56다음 중 ( A )에 들어갈 말로 적절한 것은?
( A )에 수록된 소설 다섯 편은 다양한 글쓰기 방법론과 관련된 자유로운 실험작이다. 「남염부주지(南炎浮洲志)」에서 저승의 지배자가 자기 존재를 부정하고 이승에서 간 선비의 주장에 동조해 정당한 통치가 무엇인지 밝혀 논한 것은 거짓으로 진실을 깨우치고, 역리(逆理)를 정리(正理)로 삼아 진실을 밝힌 방법론으로서 소중한 의의가 있다.
해설)
57다음 중 중세후기문학 제2기(조선전기)에 나타난 산문의 영역 확대 현상과 관련이 없는 것은?
해설)
58다음 중 죽은 여자와 사랑을 나눈다는 설정에 따라 전개되는 명혼소설(冥婚小說)끼리 묶인 것은?
해설)
59다음 중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제1기(조선후기)에 나타난 사회적 변동을 설명한 내용으로 올바른 것은?
해설)
60다음 중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제1기(조선후기)에 나타난 문학 현상을 설명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61다음은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제1기(조선후기)의 어떤 작품에 대한 설명이다. 이 작품의 제목은 무엇인가?
- 여성 영웅에 대한 이야기이다.
- 주인공은 금강산 산신의 딸로, 지상에 내려올 때에는 추녀였다가 허물을 벗고 미녀가 된 뒤, 도술을 발휘해 침략군과 맞섰다.
- 민족수호신에 대한 믿음에 근거를 두고 여성영웅의 국난 극복을 상상해 보았다.
해설)
62다음 중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제1기(조선후기)에 지어진 소설이 아닌 것은?
해설)
63다음 중 '소설(小說)'과 관련하여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제1기(조선후기)에 나타난 현상을 설명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64다음 중 ( A )에 공통으로 들어갈 말로 올바른 것은?
시는 ( A )에서 나온다고 하는 주장은 ( A )론이라고 할 수 있다. 허균, 장유, 김득신 등이 말한 ( A )론은 뚜렷한 이론을 갖추지 않은 채 널리 유행했다. 김창협(金昌協, 1651∼1708)은 송시열의 노선을 이어야 하는 위치에 있었으면서도 새로운 주장을 외면하지 않고 “시는 성정의 발현이며 ( A )의 움직임이다”라고 해서 성정론과 ( A )론을 함께 인정했다. …… 중인 신분의 위항시인들은 ( A )론을 적극적으로 표방할 필요가 있었다. …… 사대부와 위항인이 대등하다고 하는 데 그치지 않고, 사대부는 명리와 부귀를 탐내느라고 욕심을 부리지만 위항인은 그럴 수 없는 처지여서 ( A )를 온전하게 간직하고 있다고 했다.
해설)
65다음 중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제1기(조선후기)에 나타난 문학담당층의 확대 현상과 거리가 것은?
해설)
66다음 중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제1기(조선후기)에 나타난 소설 관련 직업을 설명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67다음 중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제1기(조선후기)에 등장한 실학파 문인과 그의 책을 잘못 짝지은 것은?
해설)
68다음 중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제1기(조선후기)에 나타난 문학 현상과 거리가 것은?
해설)
69다음 중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제1기(조선후기)에 이루어진 기록과 표현의 양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70다음 중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제1기(조선후기)의 구비 문학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문제답안
4433212322143443143434213244413443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