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M Library/☆ 기말시험 Data

방송대 방통대 고소설론과작가 기말시험 2016년도 2학기 3학년 / 올에이클래스 기출문제 모의고사

by KIM, HYUNSU / ΛΙΙΛ™ 2022. 10. 30.
0-썸네일-고소설론과작가-기말-16-2-3
0-썸네일-고소설론과작가-기말-16-2-3
올에이클래스 이용안내 이미지입니다. 올에이클래스는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제외한 크롬엔진 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원활히 이용가능합니다.
2016 학년도     2 학기     3 학년     35 문항
고소설론과작가
시험종류   :기말시험
출제위원   :방송대 박종성
출제범위   :교재 및 강의 전 범위
자료출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웹앱제작   :올에이클래스 김현수

 

36동아시아 고소설사의 관점에서 한국 고소설의 기점을 나말여초의 전기소설로 보는 근거에 해당하는 것은?
37성립기(나말여초)의 한국 고소설의 독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38나말여초 전기소설의 특징에 관한 것으로 잘못된 것은?
39한국 고소설을 신성소설과 세속소설의 범주로 파악할 때 신성소설적 성격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40다음 중 고소설의 유형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41다음 중 고소설의 유형에 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42다음 중 군담소설의 성격과 거리가 것은?
43다음 군담소설 중에서 처가권속의 핍박을 받는 유형에 해당하는 작품은?
44다음 중 군담소설의 출현 동인에 관한 사항과 거리가 가장 것은?
45다음 중 창작군담소설의 공통적 서사단락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46다음 중 군담소설의 인물의 형상화와 서사 전략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47다음 중 여성영웅소설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48다음 중 낙선재본 소설의 특징에 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49다음 중 <소현성록>에서 보이는 구성상의 반복원리와 관련이 없는 것은?
50다음 중 애정소설에 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51다음 중 <최척전>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52다음 중 방자형 인물의 역할이 강화되어 공모방식에서의 흥미의 증대가 가장 뚜렷하게 드러나는 세태소설 작품은?
53다음 중 제한된 공간에서의 [내기와 공모] 유형과 거리가 작품은?
54다음 중 세태소설의 웃음의 의미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55다음 중 실전(失傳) 판소리(창으로 전승이 중단된 판소리 사설)에 관한 설명으로 바르지 못한 것은?
56다음은 판소리계 소설의 어떤 특징을 가장 잘 보여주는 대목인가?
춘향의 곧은 마음 아프단 말 하여서는 열녀가 아니라고 저렇게 독한 형벌 아프단 말 아니하고 제 심중에 먹은 마음 낱낱이 발명할제 집장가가 길어서는 집장하고 치는 매에 어느 틈에 할 수 있나…
57다음은 어떤 우화소설 작품을 설명한 것인가?
이 작품의 액자 내 이야기는 송사사건이지만 그것이 본래는 누구 목청이 가장 좋은가 하는 내기에서 시작하고 있다는 점에서 경쟁담의 전통을 잇고 있다. 그들 간의 다툼은 누가 최고냐 하는 문제에 골몰하였던 것이지 누가 옳으냐 하는 문제에서 시작된 것은 아니다. 이 점에서 액자 내 이야기는 어른다툼의 성격을 지니게 된다. 그리고 그것이 모임의 구성원들 사이에서 합의를 도출해내지 못하고 해결을 송사로까지 연결시켜 모색하고 있다는 점에서 나이다툼의 단계를 벗어나 있다.
58다음 중 고소설의 직업적 작가군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59다음 중 몰락양반을 영웅소설의 작가로 보는 관점으로 타당한 것은?
60다음 중 정태제가 <천군연의>를 창작하면서 기존의 소설을 비판한 내용으로 거리가 것은?
61다음 중 고소설의 효용론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62다음 중 고소설의 독자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63다음 중 김시습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64다음 중 김만중의 문학론과 거리가 것은?
65다음 중 허균의 문학론과 거리가 것은?
66다음 중 박지원의 문학론에 합당한 것은?
67다음 내용은 누구의 문학론에 해당하는 것인가?
산천, 풍기(風氣)의 지리가 중국과 다르고, 언어, 요속(謠俗)의 시대가 한당(漢唐)이 아니다. 만약 중국의 수법을 본뜨고 한당의 문체를 답습하려고 한다면, 우리는 수법이 고상할수록 뜻이 실제로 비속하게 되고, 문체가 한당과 비슷할수록 말은 더욱 거짓이 되는 결과를 볼 뿐이다. … 우리나라의 방언을 문자로 옮기고, 우리나라의 민요를 운율에 맞추기만 하면 자연히 문장이 이루어지고, 진기(眞機)가 발현된다. 답습을 일삼지 않고, 남의 것을 빌려오지 않고, 현재 있는 그대로를 가지고 온갖 것들을 표현해 낼 수 있다.
68다음은 박지원의 문학관의 일부이다. 어떤 측면을 강조한 발언인가?
시뻘건 얼굴이나 수염은 엄연히 관공(關公)이다. 남자나 여자나 학질(瘧疾)을 앓는 사람을 그 좌상 아래 들이 밀어놓으면, 당장 질겁하고 그만 그 춥고 떨리던 증세가 도망하고 만다. 그런데 어린아이들은 무서운 줄 모르고 위엄과 존경을 모독해서, 그 눈망울을 굴려보지만 꿈벅거리지 않고, 콧구멍을 쑤셔 보지만 재채기도 하지 않는다. (아이들의 눈에는) 덩그렇게 흙으로 만든 소상(塑像)에 지나지 않는다.
69다음은 허균의 주장이다. (      )에 들어갈 용어로 적절한 것은?
이들 몇 분(좌씨, 장자, 사마천, 반고, 한유, 유종원, 구양수, 소식)의 글 또한 (      )과/와 어찌 다르다는 것인가? … 대체로 당세(當世)의 (      )을/를 우아한 것으로 바꾸어 놓아 이루어졌다. 참으로 철을 달구어서 황금으로 만든 것이다.
70다음 중 허균과 박지원의 공통된 문학론에 해당하는 것은?

중복답안 가이드
A1, 2E2, 4I1, 3, 4
B1, 3F3, 4J2, 3, 4
C1, 4G1, 2, 3K1, 2, 3, 4
D2, 3H1, 2, 4

No정답선택채점바로가기
364
374
384
392
401
411
422
432
444
451
463
471
481
494
502
514
523
534
543
553
562
571
583
594
604
612
622
633
644
653
662
674
684
694
70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