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M Library/☆ 기말시험 Data

방송대 방통대 중세국어의이해 기말시험 2017년도 2학기 3학년 / 올에이클래스 기출문제 모의고사

by DO, JINGWANG / ΛΙΙΛ™ 2024. 4. 20.
0-썸네일-중세국어의이해-기말-17-2-3
0-썸네일-중세국어의이해-기말-17-2-3
2017 학년도  2 학기  3 학년  101 문항
중세국어의이해
시험종류   :기말시험
출제위원   :방송대 이호권
출제범위   :교재[제1부 중세국어문법(3~171쪽)] 및 멀티미디어 강의 전범위
자료출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웹앱제작   :올에이클래스 김현수
01훈민정음 초성자 중 상형으로 창제된 기본자에 해당하지 않는 글자는?
해설)
02훈민정음 초성자 17자에 포함되는 글자는?
해설)
03훈민정음 종성자와 관련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것은?
해설)
0415세기 국어에서 “처음이 낮고 나중이 높은 소리”인 상성(上聲)의 방점(傍點) 표시로 옳은 것은?
해설)
0515세기 한글 표기법의 전형적인 예로 보기 어려운 것은?
해설)
0615세기 국어 자료의 주종을 이루는 '불교 관련 문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해설)
07중세국어 시기의 한글 문헌에는 ㉠과 같은 문장이 먼저 나오고 ㉡과 같은 언해문이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과 같은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 國之語音이 異乎中國야
㉡ 나랏 말미 中國에 달아
해설)
08중세국어의 자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09다음 중 3개의 형태소로 이루어진 단어는?
해설)
10다음 중 파생어인 단어는?
해설)
11다음 형용사 중 파생형용사가 아닌 것은?
해설)
12다음 파생명사 중 접두사가 결합하지 않은 것은?
해설)
13중세국어에서 생산성이 높은 비통사적 합성어의 예가 아닌 것은?
해설)
14모음조화에 의해 교체되는 중세국어 조사의 목록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
해설)
15중세국어 특유의 비자동적 교체를 보이는 “나모~(木)”의 교체형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16중세국어의 'ㅎ 종성체언'의 교체형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17밑줄 친 부분에 격조사가 포함되지 않은 것은?
해설)
18다음 중 15세기 주격조사 결합형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19밑줄 친 부분의 조사가 '처격조사'가 아닌 것은?
해설)
20중세국어 속격조사의 일반적 용법에 비추어 속격조사 'ㅅ'이 결합될 가능성이 가장 적은 단어는?
해설)
21중세국어의 '여격조사'는 이 조사에 '그/게/긔, 거긔, 손' 등이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이 조사는 무엇인가?
해설)
22밑줄 친 부분에 '비교'의 의미를 나타내는 보조사가 사용되지 않은 것은?
해설)
23중세국어에서 명사 '아'과 계사(서술격조사, 지정사)의 결합형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24다음 중 선어말어미 '-시-'가 사용되지 않은 것은?
해설)
25다음 중 명령법 종결어미가 사용된 것은?
해설)
26다음 중 중세국어의 설명의문에 해당하는 문장은?
해설)
27밑줄 친 부분에 의도나 목적을 나타내는 연결어미가 사용되지 않은 것은?
해설)
28다음 중 부정 표현에 사용된 어미로 보기 어려운 것은?
해설)
29중세국어에는 관형사형 어미 '-ㄴ, -ㄹ'이 명사적 용법으로 사용된 예를 볼 수 있다. 다음 중에서 명사적 용법으로 쓰인 예는?
해설)
30다음 예문에서 겸양법 선어말어미 {--}에 의해 높여지는 대상은?
내  勝鬘이 聰明니 부텨옷 보면 다 得道 리 리니
해설)
31청자가 자신과 같은 등급이라고 판단하되 격식을 갖추어 약간 존대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야쎠체'에 해당하는 문장이 아닌 것은?
해설)
32다음 중 '과거시제'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해설)
33밑줄 친 부분에 선어말어미 '-오/우-'가 사용되지 않은 것은?
해설)
34괄호 안에 들어갈 선어말어미는?
관형사형이 이끄는 관형절은 표제명사(수식되는 명사)를 포함해 평서문으로 고쳐질 수 있다. 이때 표제명사가 관형사형으로 쓰인 서술어에 목적어나 부사어의 자격을 가지는 경우에 이 선어말어미가 들어간다. 이 선어말어미가 쓰인 예로 아래 예를 들 수 있다.
(예) 沙門  -(            )-ㄴ 녀르믈 먹니다
(평서문:미 녀르믈 다)
해설)
35다음 중 직역의 언해문에 보이는 한문 문장의 잔재로 보기 어려운 것은?
해설)
문제답안
2233142324443111432323443241344323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