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M Library/☆ 기말시험 Data

방송대 방통대 중세국어의이해 기말시험 2018년도 2학기 3학년 / 올에이클래스 기출문제 모의고사

by DO, JINGWANG / ΛΙΙΛ™ 2024. 4. 20.
0-썸네일-중세국어의이해-기말-18-2-3
0-썸네일-중세국어의이해-기말-18-2-3
2018 학년도  2 학기  3 학년  35 문항
중세국어의이해
시험종류   :기말시험
출제위원   :방송대 이호권
출제범위   :교재[제1부 중세국어문법(3~171쪽)] 및 멀티미디어 강의 전범위
자료출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웹앱제작   :올에이클래스 김현수
01훈민정음 초성자 중 “혀끝이 윗잇몸에 닿은 모양을 본떠서” 만든 글자는?
해설)
02훈민정음 초성자 17자에 포함되는 글자는?
해설)
03훈민정음과 관련된 설명 가운데 옳은 것은?
해설)
04중세국어에서 체언 “ㆍ갈(刀)”은 거성의 성조를 가지는데, '거성'은 어떤 성조인가?
해설)
05체언 '곶'(花)의 곡용형 '고지, 고ᄌᆞᆯ, 곳도'에서 볼 수 있는 중세국어의 표기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해설)
06중세국어의 8종성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0715세기 국어 자료의 주종을 이루는 '불교 관련 문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해설)
08중세국어의 자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09중세국어 시기의 한글 문헌에는 ㉠과 같은 문장이 먼저 나오고 ㉡과 같은 언해문이 짝지어 나오는 것이 일반적이다. ㉠과 같은 문장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 國之語音이 異乎中國ᄒᆞ야
㉡ 나랏 말ᄊᆞ미 中國에 달아
해설)
10“ᄉᆡ미 기픈 므른 ᄀᆞᄆᆞ래 아니 그츨ᄊᆡ”에서 2개의 형태소로 구성되지 않은 것은?
해설)
11다음 단어 중 '합성법'에 의해 만들어진 단어는?
해설)
12중세국어에서 생산성이 높은 '비통사적 합성어'의 예가 아닌 것은?
해설)
13다음 파생명사들 중 접두사가 결합하여 만들어진 파생명사가 아닌 것은?
해설)
14'ㅎ 종성 체언'인 '돌ㅎ(石)'의 곡용형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15중세국어에서 “나무”(木)를 뜻하는 '나모'는 '나모~나ᇚ'의 비자동적 교체를 보인다. 다음 중 '나모'의 곡용형이 잘못된 것은?
해설)
16다음 (      ) 안에 들어갈 공동격조사를 순서대로 옳게 적은 것은?
나모(      ) 곳(      ) 果實(      )ᄂᆞᆫ <석보 6:40> *果實(과실)
해설)
17중세국어 체언 '사ᄅᆞᆷ(人)', '부텨(佛)'의 주격조사 통합형으로 옳은 것은?
해설)
18중세국어에서 존칭체언 '世尊'에 통합되는 격조사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19밑줄 친 부분에 들어 있는 조사의 기능이 나머지 셋과 다른 것은?
해설)
20밑줄 친 부분에 보조사가 사용되지 않은 것은?
해설)
21밑줄 친 부분에 '비교'의 의미를 나타내는 보조사가 사용되지 않은 것은?
해설)
22다음 중 중세국어 어간 교체의 예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23중세국어에서 '弟子+계사어간+더+다'의 결합형으로 옳은 것은?
해설)
24다음 중 선어말어미의 융합형(화합형)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25다음 중 어미의 교체 조건이 다른 것은 무엇인가?
해설)
26아래 문장에서는 주어 '내 ᄯᆞᆯ 勝鬘'보다 목적어로 실현된 '부텨'가 상위자이므로 겸양법 선어말어미가 쓰인다. (            ) 안에 들어갈 경어법 선어말어미는?
- 내 ᄯᆞᆯ 勝鬘이 聰明ᄒᆞ니 부텨옷 보(            )면 다ᇹ다ᅌᅵ 得道ᄅᆞᆯ ᄲᆞᆯ리 ᄒᆞ리니
- (현대역:내 딸 승만이가 총명하므로 부처님을 보면(뵈오면) 마땅히 득도를 빨리 할 것이니)
해설)
27밑줄 친 부분에 '의도나 목적'을 나타내는 연결어미가 사용되지 않은 것은?
해설)
28밑줄 친 부분의 관형사형 어미가 명사적 용법으로 사용된 것은?
해설)
29다음 중 명령법 어미가 포함되지 않은 것은?
해설)
30다음 중 문장의 종류가 다른 하나는?
해설)
31다음 의문문 중 판정의문문에 속하는 것은?
해설)
32다음에 설명하고 있는 공손법의 등급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청자가 자신과 같은 등급이라고 판단하되, 격식을 갖추어 약간 존대하고자 할 때 사용되는 것.
해설)
33아래 문장의 (            ) 안에는 중세국어의 직설법 형태소로 현재시제를 나타내는 선어말어미가 들어간다. (            )에 들어가야 할 형태로 맞는 것은?
이제 ᄯᅩ 내 아ᄃᆞᄅᆞᆯ ᄃᆞ려 가려 ᄒᆞ시(      )니 眷屬ᄃᆞ외ᅀᆞᄫᅡ셔 셜ᄫᅳᆫ 일도 이러ᄒᆞᆯ쎠
해설)
34밑줄 친 부분에 선어말어미 '-오-'가 들어 있지 않은 것은?
해설)
35다음 중 직역의 언해문에 보이는 한문 문장의 잔재로 보기 어려운 것은?
해설)
문제답안
2121324334231132413434421341421324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