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M Library/☆ 기말시험 Data

방송대 방통대 중세국어의이해 기말시험 2019년도 2학기 3학년 / 올에이클래스 기출문제 모의고사

by DO, JINGWANG / ΛΙΙΛ™ 2024. 4. 20.
0-썸네일-중세국어의이해-기말-19-2-3
0-썸네일-중세국어의이해-기말-19-2-3
2019 학년도  2 학기  3 학년  35 문항
중세국어의이해
시험종류   :기말시험
출제위원   :방송대 이호권
출제범위   :교재[제1부 중세국어문법(3~171쪽)] 및 멀티미디어 강의 전범위
자료출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웹앱제작   :올에이클래스 김현수
01다음 중 문자 '훈민정음'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해설)
02훈민정음 글자 중 “하늘의 둥근 모양을 본떠서” 만든 글자는?
해설)
03초성자 중 '병서(竝書)'의 방법에 의해 만들어진 글자는?
해설)
04중세국어에서 체언 “ㆍ갈(刀)”은 거성(去聲)의 성조를 가지는데, '거성'은 어떤 성조인가?
해설)
05다음 밑줄 친 단어가 8종성법에 따라 표기된 것은?
해설)
06중세국어 당시 현실한자음은 '菩보薩살, 大대愛ᄋᆡ道도'이지만 이 문헌에 규정된 한자음은 '菩뽕薩삻, 大땡愛ᅙᅵᇂ道또ᇦ'이다. 중세국어에서 우리 한자음을 중국 한자음과 유사하게 만든 절충적인 한자음을 제시한 문헌은?
해설)
07중세국어의 문헌 자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08중세국어 시기의 한글 문헌에는 ㉠과 같은 문장이 먼저 나오고 ㉡과 같은 언해문이 짝지어 나오는 것이 일반적이다. ㉠과 같은 문장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 國之語音이 異乎中國ᄒᆞ야
㉡ 나랏 말ᄊᆞ미 中國에 달아
해설)
0915세기 국어 자료의 주종을 이루는 불교 관계 문헌이 아닌 것은?
해설)
10“ᄉᆡ미 기픈 므른 ᄀᆞᄆᆞ래 아니 그츨ᄊᆡ”에서 1개의 형태소로 이루어진 것은?
해설)
11중세국어에서 '접두파생법'에 의해서 만들어진 파생어가 아닌 것은?
해설)
12중세국어 단어 중 어근과 어근이 결합하는 '합성법'에 의해 만들어진 단어는?
해설)
13중세국어에서 생산성이 높은 '비통사적 합성어'의 예가 아닌 것은?
해설)
14중세국어의 ㅎ종성체언 '돓(石)'과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15중세국어에서 “나무”(木)를 뜻하는 '나모'는 '나모~나ᇚ'의 비자동적 교체를 보인다. 다음 중 '나모'의 곡용형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16다음 (            ) 안에 들어갈 공동격조사를 순서대로 옳게 적은 것은?
나모(      ) 곳(      ) 果實(      )ᄂᆞᆫ <석보 6:40>
*果實(과실)
해설)
17중세국어에서 존칭(尊稱)과 평칭(平稱)에 따른 형태 구별이 없는 격조사는?
해설)
18현대국어의 여격조사 “에게, 께”에 해당하는 중세국어의 여격조사는 이 조사에 '그ᅌᅦ/게/긔, 거긔, 손ᄃᆡ' 등이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이 조사는 무엇인가?
해설)
19밑줄 친 부분에 '처격조사'가 사용되지 않은 것은?
해설)
20밑줄 친 부분에 '보조사'가 사용되지 않은 것은?
해설)
21다음 중 중세국어 어간 교체의 예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22중세국어에서 '弟子+계사어간+더+다'의 결합형으로 옳은 것은?
해설)
23다음 중 어미의 교체 조건이 다른 것은 무엇인가?
해설)
24다음 중 경어법과 관련된 선어말어미가 아닌 것은?
해설)
25다음 중 선어말어미의 융합형(화합형)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26밑줄 친 부분에 명령법 어미가 포함되지 않은 것은?
해설)
27다음 중 청자(말 듣는 이)에게 설명을 요구하는 설명의문문은?
해설)
28청자가 자신과 같은 등급이라고 판단하되 격식을 갖추어 약간 존대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ᄒᆞ야쎠체'에 해당하는 문장이 아닌 것은?
해설)
29다음 중 부정 표현에 사용된 연결어미로 보기 어려운 것은?
해설)
30밑줄 친 부분에 '의도나 목적'을 나타내는 연결어미가 사용되지 않은 것은?
해설)
31어휘에 의한 경어법 중 '주어로 나타난 인물'이 상위자일 때 쓰이는 것은?
해설)
32중세국어에서 관형사형 어미 '-ㄴ, -ㄹ'이 명사적 용법으로 사용된 예는?
해설)
33중세국어에는 종결형과 연결형에서 주어가 1인칭 화자 자신인 경우에 쓰이는 선어말어미가 있다. 다음 (            ) 안에 들어갈 선어말어미는?
우리ᄃᆞᆯ히 毒藥ᄋᆞᆯ 그르 먹(            )(으)니 <월석17:17>
해설)
34다음 문장의 시제가 다른 하나는?
해설)
35중세국어의 문장구성에 대한 설명 중 다음 예문과 가장 관련되는 것은?
- 諸子ㅣ 아비의 便安히 안ᄌᆞᆫ ᄃᆞᆯ 알오
- 意根ᄋᆡ 淸淨호미 이러ᄒᆞᆯᄊᆡ
해설)
문제답안
1243213214423412123434132412431421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