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M Library/☆ 기말시험 Data

방송대 방통대 한국한문학의이해 기말시험 2019년도 2학기 4학년 / 올에이클래스 기출문제 모의고사

by KIM, HYUNSU / ΛΙΙΛ™ 2022. 10. 26.
0-썸네일-한국한문학의이해-기말-19-2-4
0-썸네일-한국한문학의이해-기말-19-2-4
올에이클래스 이용안내 이미지입니다. 올에이클래스는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제외한 크롬엔진 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원활히 이용가능합니다.
2019 학년도     2 학기     4 학년     35 문항
한국한문학의이해
시험종류   :기말시험
출제위원   :방송대 손종흠
출제범위   :교재 및 멀티미디어 강의 전범위
자료출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웹앱제작   :올에이클래스 김현수

 

다음 글을 읽고 아래 물음에 답하시오. (36~46)
(가) 한문학은 기본적으로 교육과 교양을 독점한 최상위 계층이 전적으로 담당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한문학의 확산에 따라 승려층이나 중간 계층인 (            ), 나아가 노비계층까지 담당층이 확대되었다. 사대부 계층을 벗어난 연구로서 가장 주목을 많이 받은 계층은 (            ) 계층이다.
(나) 한글이 창제된 후 600여년이 지난 지금도 우리 언어생활에서 한자가 차지하는 역할과 비중은 실로 막대하다. 왜냐하면 우리말에서 명사(名詞)의 거의 대부분은 한자이며, 형용사, 동사, 부사 등에서도 중심어에 해당하는 부분은 한자로 된 것이 매우 많기 때문이다.
(다) 시경(詩經), 고체시(古體詩)와 악부(樂府), 근체시(近體詩) 등의 시가와 전(傳), 패관(稗官), 소설(小說) 등의 산문은 모두 한국 한문학의 형성에 일정한 영향을 미쳤기 때문에 우리 문학과 관련을 가지는 중국 고전의 범주에 넣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보인다.
(라) 소설이 『사기』의 (            )에 등장한 전(傳)양식을 창조적으로 계승한 것이라는 사실은 이미 널리 알려진 사실이지만 역사서에 등장하는 여러 사건과 인물에 대한 기록들은 언제든지 소설의 소재로 활용될 수 있는 것들이기 때문에 역사기록과 문학의 관련성은 매우 밀접할 수밖에 없다.
(마) 중국 고전의 분류에서 4분법을 처음으로 도입한 문헌은 기원후 3세기경 서진(西晉) 시대에 순욱(荀勗)이 지은 중경신부(中經新簿)였다. 여기서는 갑을병정으로 구분했다. 그러다가 기원후 4세기 중반에 동진(東晉)의 이충(李充)이 진원제사부서목(晉元帝四部書目)을 편찬했는데, 여기에서 한 단계 진보시켜서 갑을병정을 경사자집(經史子集)으로 개편했다. 7세기 초반에 위정(魏征) 등이 편찬한 『수서경적지(隋書經籍志)』를 거쳐 4부 분류법으로 확고하게 굳어지게 되면서 지금까지 표준의 분류법으로 내려오고 있다.
(바) 송덕과 송축을 중심으로 하는 노래인 송(頌)은 종묘의 제향에 쓰던 가악(歌樂)으로 주송(周頌), 노송(魯頌), 상송(商頌)이 있다. 이러한 종류의 노래에 사용된 표현수법은 흥(興), 비(比), 부(賦)로 나누어 풍아송과 합쳐서 육의(六義)로 부르기도 하는데, 풍아송은 내용을 중심으로 하는 체제를 가리키고, 홍비부는 수사법상의 구분이다.
(사) 공자와 그 제자들의 언행이 담긴 문헌인 논어(論語), 주자학이 발달하면서 예기의 한 부분을 뽑아내어 정리한 중용(中庸)과 대학(大學), 공자의 가르침을 보완하고 확장한 맹자의 사상을 정리한 맹자(孟子)를 일컬어 (            )(이)라고 한다.
(아) 사부(四部) 분류에서 두 번째에 속하는 사(史)는 천문(天文)과 관련된 것을 조사하거나 나랏일을 기록하는 일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역사에 대한 기록을 가리킨다. 정사(正史)는 국가에서 편찬한 역사서로 (            )의 방식으로 서술된 것을 가리킨다.
(자) 자부(子部)에 속하는 글은 중국 역사에서 최대의 혼란기라고 할 수 있는 춘추전국시대에 나타난 여러 학파의 주장을 담은 기록이다. 이 시대는 끊임없는 전쟁과 권력투쟁으로 인해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인간 군상들이 나타나서는 사라지곤 했는데, 이 과정에서 다양한 종류의 학문과 철학이 경쟁적으로 출현하였다. 이런 이유로 춘추전국시대를 가리켜 (            )의 시대라고 한다.
(차) 다양한 성질을 가지는 여러 종류의 글을 하나로 모아 놓은 것을 (            )(이)라고 하는데, 역대 사가(史家), 시인(詩人), 정치가(政治家) 등이 지은 산문(散文), 병문(硏文), 시(詩), 사(詞), 곡(曲), 문학평론(文學評論) 등의 저작을 총칭하는 개념으로 고대 문학 목록의 기본 형식이 되었다.
(카) 양(陽)을 상징하는 一과 음(陰)을 상징하는 - -를 세 개씩 겹치게 놓은 64개의 도형을 통해 우주 삼라만상에 대해 설명하는 주역은 동양에서 가장 오래된 경전이면서 이해하기가 어려운 문헌으로 손꼽힌다.
36(나)의 내용처럼 명사 같은 것에 한자가 주로 사용된 원인으로 가장 합당한 것은 무엇인가?
37(다)에서 제시한 고전문학 중 선진(先秦) 시대에 출현한 것이면서 북방의 문학을 대표하는 것으로 타당한 항목은 무엇인가?
38(가)에서 괄호 속에 들어갈 말로 가장 합당한 것은 무엇인가?
39(라)에서 괄호 안에 들어갈 말로 가장 합당한 것은 무엇인가?
40(마)에서 제시한 사분법은 경사자집(經史子集)이다. 다음 중에서 경부(經部)에 넣는 것으로 합당하지 못한 항목은 무엇인가?
41(바)에서 설명한 내용은 무엇에 대한 것으로 보는 것이 가장 타당한가?
42(사)에서 괄호 속에 들어갈 말로 가장 합당한 것은 무엇인가?
43(아)에서 괄호 속에 들어갈 말로 가장 합당한 것은 무엇인가?
44(자)의 괄호 속에 들어갈 말로 가장 합당한 것은 무엇인가?
45(차)에서 괄호 속에 넣을 표현으로 가장 합당한 것은 무엇인가?
46(카)에서 설명한 내용은 무엇에 대한 것인가?
47고대로부터 19세기까지의 한국은 여러 표기문자를 사용하는 다중언어 국가였다. 우리 민족이 사용한 문자로 보기 어려운 것은 무엇인가?
48'신라삼최(新羅三崔), 18세의 나이로 빈공과에 합격, 입당유학파, 토황소격(討黃巢), 해동 한문학의 비조(鼻祖)'와 가장 밀접한 관련을 가지는 것은 무엇인가?
49'고려 말의 정몽주(鄭夢周), 길재(吉再) 등으로부터 내려온 조선시대의 이 학풍은 김종직(金宗直), 김굉필(金宏弼) 등으로 이어 오다가 조광조(趙光祖)에 이르러 크게 번성했으며, 이이(李珥)와 이황(李滉)에 이르러 꽃을 피웠다고 볼 수 있다. 이런 학풍의 흐름을 (            )라고도 한다'에서 괄호 속에 들어갈 말로 가장 합당한 것은 무엇인가?
50우리 문학사에서 볼 때 상대시가는 민요와 일정한 관련을 가지는 것으로 보이지만 기록된 형태는 한시의 모습으로 되어있다. 황조가, 공무도하가, 구지가 등이 그것인데, 이 작품은 한시의 어떤 형식에 맞도록 되어 있는가?
다음 글을 읽고 아래 물음에 답하시오. (51~64)
(가) 전통사회에서 지배층에 속하는 한 개인이 일생 동안 자신을 위해 지었거나 남을 위해 저작한 글을 일정한 기준과 체계에 의해 모아서 책으로 간행한 것으로써 공리적(公利的) 성격 보다는 개인적 성격이 두드러지는 특징을 지니고 있는 기록물이다.
(나) 중국을 직접 방문하여 자신의 견문이나 감회, 의론 등을 기록한 작품이 가장 많이 전하는데 통상적으로 이러한 기록 을 '연행록'이라 지칭한다. 연행록에는 공적인 보고를 위해 작성된 것도 있으나 대체로 개인적인 저술이 많다.
(다) 공식적인 사행의 경우 매번 정해진 경로를 따라 왕복하였으나 간혹 표류나 표착으로 인해 쉽게 견문할 수 없는 지역들을 체험하기도 하고, 개인이 우연히 표류하여 중국, 유구, 안남 등지로 들어갔던 것을 남긴 기록도 있다.
(라) 고구려 한문학의 전통과 수준은 수(隋)나라와의 전투에서 을지문덕이 적장에게 지어주었다는 (            ) 시에서도 잘 나타나고 있다. '신기한 책략은 천문을 끝까지 궁구했고 절묘한 책략은 땅의 이치 모두 꿰뚫었네 싸움마다 이겨서 공이 이미 아주 높으니 만족함을 알았거든 그치기를 바라노라'
(마) 책으로 발행된 개인의 창작물은 관계자들에게 골고루 나누어 배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배포하는 범위나 원칙은 첫째, 향교나 서원 등 향촌 사회에서 으뜸으로 치는 공공단체를 우선으로 하며, 둘째, 학연과 혈연 등으로 저작자와 관련을 맺고 있는 문중의 종택(宗宅)이나 개인에게 모두 무료로 배포한다. 간행된 책을 받은 문중이나 개인은 당연히 소정의 성의를 표하는 것이 하나의 관례로 되어 있었다.
(바) 가을 밤 달 비치고 은하수는 밝은데, 나그네는 고향 생각 간절키만 하구나 긴 밤 홀로 앉아 시름에 겨워하는데, 이웃 아낙 다듬이 소리 홀연히 들리네 바람결 따라 끊어질 듯 들리는 소리, 밤 깊어 별 질 때까지 잠시도 멈추지 않네 조국을 떠난 후로는 듣지를 못했더니, 지금 타향에서 비슷한 소리를 듣는도다 그대의 방망이는 무거운지 가벼운지, 푸른 다듬돌 고른지 거친지 알 수 없으나 가녀리고 약한 몸은 구슬땀에 젖었고, 옥 같이 고운 팔도 지쳤음을 알겠노라 홑옷의 나그네를 응당 구하려 함인가, 규방의 외로운 시름 씻어보자고 함인가 그 모습 알 수 없어도 물어볼 수 없고, 부질없이 아득한 맘 원망만 끝이 없네
(사) 가을바람에 괴로이 읊조리기만 하는데 세상에는 나를 알아주는 이 거의 없네 한 밤중인 창밖에는 밤비만 내리는데 등불 앞의 내 마음은 만리를 달리누나(秋風惟苦吟 世路少知音 窓外三更雨 燈前萬里心)
(아) 과거에 책을 만들 때 본문의 둘레를 에워싸는 외곽의 테두리 선이 있다. 여기에는 경계선이 있으며, 한 쪽인 반엽(半葉)이 10행이며 각 행(每行)에 18~22자가 일반적이다.
(자) 비갠 언덕 위 풀빛은 더욱 푸른데 남포에서 임 보내는 구슬픈 노래 대동강 물이야 언제나 돼야 마르리 해마다 이별눈물을 보태는 것을(雨敭長堤草色多送君南浦動悲歌 大洞江水何時盡 別涙年年添綠波)
(차) 고려 중기 임춘(林椿)이 술을 의인화 하여 지은 '국순전(麴醇傳)과 돈을 의인화해서 지은 '공방전(孔方傳)'을 시작으로 하여 누룩과 거북을 각각 의인화하여 이규보가 지은 '국선생전(鞠先生傳)', '청강사자현부전(淸江使者玄夫傳)'을 비롯하여 대나무로 된 피서기구를 의인화하여 이곡(李穀)이 지은 '죽부인전(竹夫人傳)' 등과 지팡이를 의인화하여 승려인 식영암(息影庵)이 지은 '정시자전(丁侍者傳)'등이 있다.
(카) 세조가 왕위를 찬탈하는 등 조정이 명분의 정당성을 확보하지 못하였다. 이에 따라 지배층이 상호 분쟁하면서 사화(士禍)가 붕당(朋黨)의 형태로 변화 발전하였다. 이 과정에서 출현한 세력이 방외인(方外人)이다. 방외인은 유학사상의 기초 위에서 삶의 지향을 세우지만, 현실의 정치권력에 비판적태도를 견지하고, 사회의 모순과 변질된 유학의 행태를 바로 잡으려는 저항 정신을 드러내고 있다.
(타) 조선 전기 한시사를 조감하면, 조선 초에는 소동파(蘇東坡)를 위시한 송시풍(宋詩風)이 주류를 형성하였고, 중종 연간부터는 송시풍 중에서도 특히 강서시풍(江西詩風)이 한때를 풍미하였다. 선조 무렵에는 국초부터 일부 시인들이 관심을 보이던 당시풍(唐詩風)이 시단의 중심에 서게 되었다.
(파) 그는 「남궁선생전(南宮先生傳)」, 「장생전(蔣生傳)」 등의 한문단편 소설과 국문 소설 등을 창작하는 한편, 『학산초담(鶴山雄談)』, 『성수시화(史詩話)』, 『국조시산(國朝詩刑)』 등 을 통하여 비평의식의 폭을 다양하게 보여주었다.
(하) 정조는 패관이어(神官俚語)를 담은 서적의 경우, 실용에 무의할 뿐만 아니라 그 내용이 사람의 마음까지 방탕하게 만든다며 불온한 것으로 간주하고 문체반정을 단행하였으며, 배격해야 할 서적의 대표적 사례로 (            )을(를) 지목하였다.
51(마)가 설명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52(아)에서 제시한 내용에 가장 부합하는 것은 다음 중 무엇인가?
53(가)에서 설명하고 있는 내용과 부합하는 것은 무엇이 가장 합당한가?
54(나)에 속하는 기록 중 조선 후기 박지원이 지은 것은 무엇인가?
55(다)에서 설명한 내용의 글을 통칭하여 표해록이라고 한다. 조선전기에 부모의 상을 만나 제주에서 육지로 가다 중국 절강성 해안에 표착해서 조선으로 돌아오기까지의 과정을 기록한 인물이 있다. 그는 누구인가?
56(라)에서 제시한 작품의 명칭은 무엇인가?
57(바)에서 제시한 작품을 지은 시인은 어느 나라 사람인가?
58(사)에서 제시한 작품과 관련성이 가장 희박한 것은 무엇인가?
59(자)에서 제시한 작품은 사람들이 무엇이라고 불렀는가?
60(차)에서 제시한 작품에 대한 명칭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무엇인가?
61다음 중 (카)에서 제시한 방외인의 범주에 넣기 어려운 인물은 누구인가?
62(타)의 내용 중 당시풍을 대표하는 사람들을 삼당시인이라고 한다. 삼당시인의 범주에 넣기 어려운 사람은 누구인가?
63(파)의 내용이 지칭하는 인물은 누구인가?
64(하)에서 괄호 안에 들어갈 말로 가장 합당한 것은 무엇인가?
65'옛 성현이 제자와 문답식으로 주고받은 글이나, 교우 관계를 통하여 서로 주고받은 글이다. 논(論), 변(辨), 설(說), 의(議), 해(解), 난(難), 석(釋), 유(喩), 대문(對問) 등이 여기에 속한다'는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66한(漢)나라 때 궁중 음악을 관장하던 관청의 이름이었는데, 이곳에서는 민간의 노래를 채집하여 편곡해서 국가 기관에서 사용하게 하였다. 이 관청이 없어진 뒤에는 그 기관에서 불리던 시체(詩體)의 명칭으로 되었다'는 말은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67다음 중에서 나머지 셋과 그 성격이 다른 하나는 무엇인가?
68'조물주 언제나 어옹에게 너그럽지 않아 그래서 그런지 강호에는 순풍이 적다네 사람 세상 험하다고 그대 비웃지 마소서 스스로가 도리어 급류 가운데 있는 것을(天翁尙不貴漁 故遣江湖少順風 人世年恩君莫笑 自家還在急流中)'에서 쓰인 대표적인 창작의 방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69한국 한문학을 주도한 작가층은 역사적으로 많은 변화를 겪었다. 다음 중에서 시대와 작가층의 연결이 올바르지 못한 것은 무엇인가?
70'늙으신 어머니 강릉에 계시는데 혼자서 한양가는 이내 심정이여 때로 머리돌려 북평을 바라보니 흰구름 나는 아래 저녁산 푸르네(慈親鶴髮在臨瀛 身向長安獨去情 回首北坪時一望 白雲飛下暮山靑)'는 누구의 작품인가?

중복답안 가이드
A1, 2E2, 4I1, 3, 4
B1, 3F3, 4J2, 3, 4
C1, 4G1, 2, 3K1, 2, 3, 4
D2, 3H1, 2, 4

No정답선택채점바로가기
361
373
384
392
404
411
423
432
443
451
463
473
482
494
504
514
523
532
544
551
563
571
581
593
604
614
621
633
642
651
662
674
682
693
70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