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M Library/☆ 기말시험 Data

방송대 방통대 한국한문학의이해 기말시험 2015년도 2학기 4학년 / 올에이클래스 기출문제 모의고사

by KIM, HYUNSU / ΛΙΙΛ™ 2022. 10. 26.
0-썸네일-한국한문학의이해-기말-15-2-4
0-썸네일-한국한문학의이해-기말-15-2-4
올에이클래스 이용안내 이미지입니다. 올에이클래스는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제외한 크롬엔진 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원활히 이용가능합니다.
2015 학년도     2 학기     4 학년     35 문항
한국한문학의이해
시험종류   :기말시험
출제위원   :방송대 손종흠
출제범위   :교재 및 오디오강의 전 범위
자료출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웹앱제작   :올에이클래스 김현수

 

36한시 표현법의 하나인 用事의 한 방법으로 과거의 시에서 쓰였던 詩思를 다른 사유방식으로 바꾸어 창작하는 수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37'登臨暫隔路岐塵 吟想興亡恨益新 畵角聲中朝暮浪 靑山影裏古今人 霜摧玉樹花無主 風暖金陵草自春 賴有謝家餘景在 長敎詩客爽精神'에서 對句로 된 부분은 무엇과 무엇의 對로 보는 것이 가장 합당한가?
38'仁聖遺祠歲月多 朝天舊石足悲歌 大同門外長江水 不見廻波見逝波'가 次韻의 대상으로 삼은 원 작품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합당한 것은 무엇인가?
39시의 종류를 古體詩, 樂府, 近體詩로 나눌 때 나머지 셋과 다른 성격을 가지는 것은 무엇인가?
40近體詩에서 낭송할 때 소리의 높낮이에 따른 율동을 느끼게 하기 위해 일정한 자리에 동일한 韻에 속하는 글자를 넣어야 하는 규칙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41'文의 종류 중 하나로 한 사람의 일대기를 기록하여 후세 사람들에게 전하는 방식의 글로 일정한 지위에 이른 사람이나 나라를 위해 큰 일을 한 사람들의 일대기를 역사가들이 서술하는 데서 시작했다'는 말은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42'秋風惟苦吟 世路少知音 窓外三更雨 燈前萬里心'에서 用事가 쓰인 부분은 어디인가?
43'翬飛仙閣在靑冥 月殿笙歌歷歷聽 燈撼螢光明鳥道 梯回虹影到巖扄 人隨流水何時盡 竹帶寒山萬古靑 試問是非空色理 百年愁醉坐來醒'에서 진리에 이르는 길이 결코 순탄하지 않다는 사실을 노래한 부분은 어디인가?
44'庭前一葉落 床下百蟲悲 忽忽不可止 悠悠何所之 片心山盡處 孤夢月明時 南浦春波綠 君負後期'에서 밑줄 친 글자의 용법으로 가장 합당한 것은 무엇인가?
45'干戈誰着老萊衣 萬事人間意漸微 地勢已從蘭子盡 行人不見漢城歸 天心錯莫臨江水 廟算凄凉對夕暉 聞道南兵近乘勝 幾時三捷復王畿'에서 부모에 대한 효성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가장 합당한 것은 무엇인가?
46'巉巖怪石疊成山 上有蓮坊水四環 塔影倒江翻浪底 磬聲搖月落雲閒 門前客棹洪濤疾 竹下僧碁白日閑 一奉皇華堪惜別 更留詩句約重攀'에서 시인이 使臣으로 가고 있음을 알 수 있는 구절은 어느 것인가?
47'終日芒鞋信脚行 一山行盡一山靑 心非有像奚形役 道本無名豈假成 宿霧未晞山鳥語 春風不盡野花明 短筇歸去千峯靜 翠壁亂煙生晚晴'에서 밑줄 친 부분을 가장 정확하게 해석한 것은 무엇인가?
48'昨過永明寺 暫登浮碧樓 城空月一片 石老雲千秋 麟馬去不返 天孫何處遊 長嘯倚風磴 山靑江自流'의 내용으로 볼 때 시인이 기다리는 존재는 누구와 같은 인물인가?
49'病起因人作遠遊 東風吹夢送歸舟 山川鬱鬱前朝恨 城郭蕭蕭半月愁 當日落花餘翠壁 舊時巢燕繞江樓 憑君莫話溫家事 弔古傷春易白頭'에서 소재로 삼은 것은 무엇인가?
50地如拍拍飛翼 樓似搖搖不繫篷 北望雲山欲何極 南來襟帶此爲雄 海氛作霧因成雨 浪勢飜天自起風 暝裏如聞鳥相叫 坐間渾覺境俱空'에서 밑줄 친 글자의 뜻은 무엇인가?
51'所學非雅音 多被春心牽 自謂芳華色 長占艶陽年 却笑隣舍女 終朝弄機杼 機杼縱勞身 羅衣不到汝'에서 '却'은 어떤 뜻으로 쓰였는가?
52'嗚呼島在東溟中 滄波渺然一點碧 夫何使我雙涕零 祗爲哀此田橫客 田橫氣槩橫素秋 義士歸心實五百 咸陽隆準眞天人 手注天潢洗秦虐 橫何爲哉不歸來 怨血自汚蓮花鍔'의 내용으로 볼 때 田橫이 항복하지 않은 대상은 누구인가?
53'寺在白雲中 白雲僧不掃 客來門始開 萬壑松花老'와 가장 관련이 깊은 것은 무엇인가?
54'蒼生難蒼生難 年貧爾無食 我有濟爾心 而無濟爾力 蒼生苦蒼生苦 天寒爾無衾 彼有濟爾力 而無濟爾心 回顧小人腹 暫爲君子慮 暫借君子耳 試聽小民語 小民有語君不知 今歲蒼生皆失所 北闕雖下憂民詔 州縣傳看一虛紙 特遣京官問民壟 馹騎一馳三百里 吾民無力出門限 何暇面陳心內事 縱使一郡一京官 京官無耳民無口 不如喚起汲淮陽 未死孑遺猶可救'에서 밑줄 친 표현의 정확한 뜻은 무엇인가?
55'麻衣難拂路岐塵 鬢改顔衰曉鏡新 上國好花愁裏艶 故園芳樹夢中春 扁舟煙月思浮海 羸馬關河倦問津 祗爲未酬螢雪志 綠楊鶯語大傷神'에서 頸聯은 用事를 사용하여 작가의 심정을 절묘하게 잘 표현하고 있다. 여기서 사용한 용사의 典據는 무엇인가?
56'波烟橋根幽草沒 先生於此乃成仁 乾坤弊盡丹心在 風雨磨來碧血新 縱道武王扶義士 未聞文相作遺民 無情有恨荒碑濕 不待龜頭墮淚人'에서 정몽주를 죽인 이성계를 원망하는 시인의 마음이 묘하게 표현된 곳은 어디인가?
57'雨歇長堤草色多 送君南浦動悲歌 大洞江水何時 別淚年年添綠波'에서 밑줄 친 글자의 정확한 뜻은 무엇인가?
58'有三人共買一馬者, 靡所適主, 相與議. 一者曰: “我買脊.” 其一者曰: “我買首.” 又其一者曰: “我買尻.” 已而騎而出, 買脊者乘, 使買首者牽其前, 買尻者鞭其後, 儼然一主而二僕也. 夫設詐而欺愚, 自取其便利者, 亦是買馬脊之類也.'에서 글쓴이가 가장 싫어하는 종류의 사람은 누구인가?
59'昔有一將官畏妻者, 以爲天下之貞男, 莫我若也. 欲試諸人, 乃植靑白兩旗於庭, 令曰: “貞男者赴靑旗, 非貞男者赴白旗.” 於是軍中或左或右, 有一卒獨中立不動, 怪而問之. 對曰: “卒妻嘗戒卒曰: '男子衆會, 則必談及女色, 愼無往'云, 故不敢違耳.” 將官乃下庭, 挽而上座曰: “今日之事, 爾爲將矣.”'에서 밑줄 친 글자의 뜻으로 가장 정확한 것은 무엇인가?
60'聞諸孤竹後孫. 洪娘卽洪原妓愛節, 有姿色. 孤竹歿後自毁其容, 守墓於坡州. 壬癸之亂, 負孤竹詩稿, 得免軼於兵火. 死仍葬孤竹墓下, 有一子. 孤竹集中載其詩, 而序則不載, 後人何以知(咸關舊時曲)之有謂耶? 聊記之.'에서 밑줄 친 것처럼 한 주체는 누구인가?
61'于今又見人肆焉, 自去年水旱民無食, 強者爲盜賊, 弱者皆流離. 無所於餬口, 父母鬻兒, 夫鬻其婦, 主鬻其奴, 列於市賤其估. 曾犬豕之不如, 然而有司不之問. 嗚呼, 前二肆其情可憎, 不可不痛懲之也. 後一肆其情可矜, 亦不可不早去之也.'에서 밑줄 친 표현의 가장 정확한 해석은 무엇인가?
62'兎曰: “噫! 吾神明之後, 能出五藏, 洗而納之. 日者小覺心煩, 遂出肝心洗之, 暫置巖石之底. 聞爾甘言徑來, 肝尙在彼. 何不迴歸取肝? 則汝得所求, 吾雖無肝尙活, 豈不兩相宜哉?” 龜信之而還, 纔上崖, 兎脫入草中謂龜曰: “愚哉汝也! 豈有無肝而生者乎'에서 밑줄 친 표현의 정확한 뜻은 무엇인가?
63'李太湖元鎭, 日食不過數合, 夜寢不過一更. 或譏其太苦淡, 公曰: “人少食者, 多淸明, 多食者, 多濁鈍. 故道家辟穀, 爲身中滓穢少也. 今得不飢, 無損於氣足矣. 人必以飽爲悅, 多其中糞也. 糞者人莫不汚而遠之, 而必欲多於中者, 何哉? 人生如白駒過隙, 睡者與死一也. 不睡則生, 可生而死者, 何樂於死也?'에서 시간이 빨리 지나감을 가리키는 표현으로 가장 합당한 것은 무엇인가?
64'目爲詩人, 志士恥之. 然前世賢士大夫名公卿, 願有不能詩者乎. 自世不談詩, 吾未見其德業功用之逈出古人也. 詩固小技也, 而得之有道, 不專不成, 不久弗見功, 不自重則蕩而不返. 反是者其弊有三. 局者自畫, 驕者自足, 吝者惡聞其失. 三弊不除, 難與言詩矣.'에서 밑줄 친 표현의 정확한 뜻은 무엇인가?
65'公因諭之曰: “父母之心, 於兒女均也. 豈厚於長年有家之女而薄於無母髫齔之兒耶? 顧兒之所賴者姊也, 若遺財與姊等, 恐其愛之或不至 養之或不全耳.'에서 밑줄 친 글자는 어떤 용법으로 쓰였는가?
66'鏡之明也, 妍者喜之, 醜者忌之, 然妍者少醜者多. 若一見, 必破碎後已, 不若爲塵所昏. 塵之昏, 寧蝕其外, 未喪其淸, 萬一遇妍者而後磨拭之, 亦未晚也.'에서 밑줄 친 글자가 가리키는 것으로 가장 합당한 것은 무엇인가?
67'獨怪夫閒者, 經不載, 聖不言, 而有托以消日者. 由此而宇宙間事, 多有不得盡其分者矣. 且天不自閒而常運, 人得閒哉?'에서 밑줄 친 글자의 뜻으로 가장 합당한 것은 무엇인가?
68'予不能無愧色, 因歎息曰: “嗟乎! 此區區一葦所如之間, 猶以賂之之有無, 其進也有疾徐先後, 況宦海競渡中, 顧吾手無金, 宜乎至今未霑一命也.” 書以爲異日觀'의 내용으로 볼 때 글쓴이는 무엇에 대해 탄식하고 있는 것으로 보는 것이 가장 합당한가?
69'木覓山下有痴人, 口訥不善言, 性懶拙, 不識時務, 奕棋尤不知也. 人辱之不辨, 譽之不矜. 惟看書爲樂, 寒暑飢病殊不知, 自塗鴉之年, 至二十一歲, 手未嘗一日釋古書'에서 밑줄 친 표현의 정확한 뜻은 무엇인가?
70'予束脩七日, 夫子贈以治文史之文詞, 曰: 汝勸山石治文史, 山石逡巡有媿色而辭曰; 我有病三, 一曰鈍, 二曰滯, 三曰戞.'에서 제자가 스승이 될 사람에게 예물을 바친다는 뜻으로 누군가의 제자가 됨을 가리키는 표현은 무엇인가?

중복답안 가이드
A1, 2E2, 4I1, 3, 4
B1, 3F3, 4J2, 3, 4
C1, 4G1, 2, 3K1, 2, 3, 4
D2, 3H1, 2, 4

No정답선택채점바로가기
364
371
384
394
402
413
422
432
442
452
464
472
484
491
503
511
524
534
542
553
563
574
582
592
602
612
624
632
644
653
661
671
684
692
70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