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M Library/☆ 기말시험 Data

방송대 방통대 전근대한일관계사 기말시험 기출문제 2017년도 2학기 4학년 / 올에이클래스 모의고사

by BAE, JUNHO / ΛΙΙΛ™ 2024. 8. 9.
0-썸네일-전근대한일관계사-기말-17-2-4
0-썸네일-전근대한일관계사-기말-17-2-4
2017 학년도  2 학기  4 학년  25 문항
전근대한일관계사
시험종류   :기말시험
출제위원   :방송대 이영
출제범위   :교재 전 범위 (해당 강의 및 워크북 포함)
자료출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웹앱제작   :올에이클래스 김현수
36다음은 일본의 청동기 문화의 전래에 관한 서술이다. 옳지 않은 것은? (3점)
해설)
37다음은 일본의 조몬 문화와 야요이 문화에 관한 서술이다. 옳지 못한 것은? (4점)
해설)
38다음은 철과 철정에 관한 서술이다. 옳지 않은 것은? (4점)
해설)
39다음은 6세기 가야 제국의 시대적 상황에 관한 서술이다. 옳지 않은 것은? (4점)
해설)
40다음은 임나일본부에 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 (2점)
해설)
41다음은 '기마민족설'에 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 (3점)
해설)
42다음은 '칠지도'에 관한 서술이다. 옳지 않은 것은? (3점)
해설)
43다음은 오경박사에 관한 서술이다. 옳지 않은 것은? (3점)
해설)
44다음은 백제가 선진문물을 왜국에 전해준 배경에 관한 서술이다. 옳지 않은 것은? (3점)
해설)
45다음 중 몽골이 일본을 침공할 당시 고려가 행한 역할이 아닌 것은? (2점)
해설)
46다음은 왜구가 고려 사회에 미친 피해에 관한 서술이다. 옳지 않은 것은? (2점)
해설)
47다음은 고려 말 왜구에 관한 서술이다. 옳지 않은 것은? (2점)
해설)
48다음은 왜구의 침구에 대비해 고려가 취한 대응과 그 결과를 서술한 것이다. 옳지 못한 것은? (3점)
해설)
49다음은 고려 말 왜구의 실체 중 하나인 마쓰라토(松浦党)에 관한 서술이다. 옳지 않은 것은? (2점)
해설)
50다음 중 고려 말 수군을 재건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 인물은? (3점)
해설)
51다음은 조선시대 초기의 삼포 왜관에 관한 서술이다. 옳지 않은 것은? (3점)
해설)
52다음은 조선시대 초의 일본과의 무역에 관한 서술이다. 옳지 않은 것은? (2점)
해설)
53다음은 조선 중기의 한일 관계에 관한 서술이다. 옳지 않은 것은? (2점)
해설)
54다음은 임진왜란의 영향에 관해 서술한 것이다. 옳지 않은 것은? (2점)
해설)
55다음은 임진왜란 때 일본으로 잡혀간 도공에 관한 서술이다. 옳지 않은 것은? (2점)
해설)
56다음은 임진왜란 이후 일본의 조선 인삼에 관한 서술이다. 옳지 않은 것은? (3점)
해설)
57다음은 임진왜란 이후의 조선과 일본과의 관계 및 교류에 관한 서술이다. 옳지 않은 것은? (2점)
해설)
58다음 설명과 관련이 깊은 인물은? (3점)
“조선의 언어와 문화, 풍속을 깊이 이해하고 성신지교(誠信之交)를 수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조선과의 교류는 풍속과 문화를 이해하는 데서 출발해야지, 일본의 논리와 요구를 주장하는 것은 우호를 저해하는 것이라고 했다.”
해설)
59다음 (            )안에 들어갈 적당한 단어는? (4점)
“무령왕과 일본의 관계를 보여주는 또 하나의 사례는 (            ) 천황의 어머니인 야마토후비토노 니이가사가 무령왕의 후손이라는 전승이 존재한다는 사실이다.”
해설)
60다음은 누구에 관한 서술인가? (4점)
“1597년 정유재란 때 남원성 전투는 일본 문화사에 잊을 수 없는 사건을 낳았다. 명군과 조선군의 군량을 조달하기 위해 파견된 그는 일본군의 포로가 되어 일본으로 끌려갔다. 그는 승려, 의사, 학자 등 많은 일본인과 교류하였다. 그 경험을 토대로 쓴 『간양록(看羊錄)』은 일본의 사회현상, 지리, 역사, 풍속 등 내용이 광범하면서도 정확하여 자료적 가치가 높은 책이다.”
해설)
문제답안
343413212434341322224114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