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M Library/☆ 기말시험 Data

방송대 방통대 우리말의역사 기말시험 2017년도 1학기 4학년 / 올에이클래스 기출문제 모의고사

by PYO, JUNWHAN / ΛΙΙΛ™ 2024. 4. 20.
0-썸네일-우리말의역사-기말-17-1-4
0-썸네일-우리말의역사-기말-17-1-4
2017 학년도  1 학기  4 학년  35 문항
우리말의역사
시험종류   :기말시험
출제위원   :방송대 이호권
출제범위   :교재 및 강의 전 범위
자료출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웹앱제작   :올에이클래스 김현수
36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국어사의 연구 방법은?
- 어떤 공시적 상태가 보여주는 암시에 근거하여 그 이전의 상태를 추정하는 방법
- 15세기의 '(一日)', '리', '', ''의 교체형에서 이전 시기의 '*'을 추정
해설)
37우리말의 역사에서 일어난 음운 변화로 볼 수 없는 것은?
해설)
38다음 중 동일한 조상 언어에서 갈려 나온 언어들을 하나의 어족으로 묶어 분류하는 방법은?
해설)
39알타이 제어에 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해설)
40다음 설명은 고대의 어느 나라의 언어와 관련되는가?
- 현전 자료를 가진 유일한 부여계 언어
- '水谷城縣 一云 買旦忽'에서 보듯 '성(城)'을 뜻하는 단어로 '忽'이 있었다.
해설)
41차자표기법 중 '한문을 읽을 때 문법적 관계를 표시하기 위해서 삽입하는 요소들'로 '토(吐)'라고도 불리는 것은?
해설)
42차자표기법 중 아래 예와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入良沙寢矣見昆 <처용가>
해설)
43국어사의 시대 구분에서 중세 단계의 시작은?
해설)
44신라어의 자음 중 폐쇄음과 파찰음 체계에 존재했던 계열은?
해설)
45신라어에서 속격의 'ㅅ'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었던 글자는?
해설)
46전기 중세국어 문헌인 『향약구급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47전기 중세국어의 음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해설)
4815세기 한글 문헌의 특징으로 잘못된 것은?
해설)
49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후기 중세국어 문헌 자료는?
- 우리나라 한자음의 표준화를 위하여 세종이 신숙주 등에게 명하여 편찬한 운서
- 초기에는 이 책의 한자음이 언해에 사용되었으나 그 당시의 실제 한자음과 같지 않은 점이 많아 15세기 말부터는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해설)
50훈민정음 체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51훈민정음 초성 17자 중 '상형'에 의해 만들어진 글자가 아닌 것은?
해설)
52훈민정음 중성자의 기본 글자에 속하지 않는 글자는?
해설)
53다음 중 15세기 국어의 음소적 표기 원리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해설)
54후기 중세국어 시기에 이중모음이 아닌 모음자는?
해설)
55후기 중세국어에 존재하던 유성마찰음과 그 예가 옳지 않은 것은?
해설)
56다음 괄호 안에 들어갈 성조는 무엇인가?
(            )은 처미 갑고 乃終이 노 소리라
해설)
57다음 중 15세기 국어의 비통사적 합성어가 아닌 것은?
해설)
58후기 중세국어에서 'ㅎ'말음을 가진 명사 '돓(石)'의 곡용형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59후기 중세국어에서 '木'을 뜻하는 명사는 '나모(자음 앞)~(모음 앞)'으로 비자동적 교체를 보였다. 이 명사의 곡용형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60후기 중세국어 격조사 가운데 '존칭'과 '평칭'의 구별이 있는 조사만으로 짝지어진 것은?
해설)
61후기 중세국어에서 경어법 선어말어미가 아닌 것은?
해설)
62후기 중세국어에서 명령형 어미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은?
해설)
63후기 중세국어의 설명의문에 해당하는 것은?
해설)
64후기 중세국어의 어휘에 의한 경어법의 예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해설)
65다음 중 근대국어 역학서(외국어 학습서)에 해당하는 문헌은?
해설)
66근대국어의 문자 체계와 표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해설)
67근대국어 시기에 일어난 구개음화의 예에 해당하는 것은?
해설)
68다음 ( a ), ( b )에 들어갈 모음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모음 'ㆍ'는 16세기에 모음 ( a )로 변화하는 첫 단계의 소실(비어두 음절에서의 소실)을 경험하고, 18세기 후반에 와서 모음 ( b )로 변화하는 둘째 단계의 소실(어두 음절에서의 소실)을 경험함으로써 완전히 그 자취를 감추게 된다.
해설)
69근대국어의 문법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해설)
70중세국어에서는 '어리석다(愚)'의 의미였으나 근대국어에서 '幼少'의 의미로 변화를 겪은 단어는?
해설)
문제답안
3242314212241323441231432413314214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