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M Library/☆ 기말시험 Data

방송대 방통대 우리말의역사 기말시험 2016년도 1학기 4학년 / 올에이클래스 기출문제 모의고사

by PYO, JUNWHAN / ΛΙΙΛ™ 2024. 4. 20.
0-썸네일-우리말의역사-기말-16-1-4
0-썸네일-우리말의역사-기말-16-1-4
2016 학년도  1 학기  4 학년  35 문항
우리말의역사
시험종류   :기말시험
출제위원   :방송대 이호권
출제범위   :교재 및 강의 전 범위
자료출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웹앱제작   :올에이클래스 김현수
36국어사 연구 방법 가운데 가장 중심이 되는 것은?
해설)
37다음 중 언어 변화 유형이 다른 것은?
해설)
38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언어의 분류 방법은?
ㄱ. 동일한 조상 언어에서 갈려 나온 언어들을 하나의 어족으로 묶어 분류하는 방법이다.
ㄴ. 언어들의 친족 관계에 기초를 두고, 공통조어의 재구를 시도한다.
ㄷ. 19세기 초엽 비교언어학의 발달로 인도ㆍ유럽어족이 확립된 뒤로 널리 퍼져 나갔다.
해설)
39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알타이제어의 문법적 특징은?
ㄱ. 국어와 알타이 제어의 모든 단어의 파생과 굴절은 접미사에 의해 이루어진다.
ㄴ. 어간과 접미사의 결합이 극히 기계적이며, 모든 접미사는 단일한 기능을 가진다.
해설)
40다음 중 부여계 제어에 속하지 않는 것은?
해설)
41다음은 어느 나라 언어에 대한 설명인가?
ㄱ. 王姓夫餘氏 號於羅瑕 民呼爲鞬吉支 夏言並王也.
ㄴ. 사람들이 모여 사는 곳을 '夫里'라 한다.
해설)
42'居柒夫 或云 荒宗'(신라)와 관련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해설)
43다음 중 '구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44다음 중 '이두(吏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45고대국어의 동명사 어미 '-ㄴ'을 포함하고 있는 것은?
해설)
46고대국어의 음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해설)
47전기 중세국어 자료인 <계림유사>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해설)
48전기 중세국어 자음 체계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49다음 전기 중세국어 어휘 중 몽골어 차용어가 아닌 것은?
해설)
50후기 중세국어 문헌 자료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51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후기 중세국어 문헌 자료는?
새 왕조의 건국과 관련된 목조에서 태종에 이르는 사적을 읊은 125장의 노래와 그 주해(한문)으로 되어 있다.
해설)
52다음 중 문자 '훈민정음' 체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5315세기 맞춤법의 원리인 '음소적 표기법'의 예에 해당하는 것은?
해설)
54후기 중세국어에서 진정한 자음군(子音群)을 나타내는 것으로 믿어지는 것은?
해설)
5515세기 중엽의 국어에서 유성마찰음이 아닌 것은?
해설)
56후기 중세국어 당시의 단모음만으로 배열된 것은?
해설)
57'처미 갑고 乃終이 노 소리'인 상성(上聲)을 표기한 것은?
해설)
58다음 중 후기 중세국어의 비통사적 합성어가 아닌 것은?
해설)
59후기 중세국어의 파생형용사 중 명사 어간에서 파생된 것은?
해설)
60후기 중세국어에서 존칭 체언 '부텨(佛)'와 조사의 결합이 옳지 않은 것은?
해설)
61후기 중세국어에서 비자동적 교체를 보인 어간으로 볼 수 없는 것은?
해설)
62후기 중세국어 선어말어미 '-오/우-'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해설)
63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선어말어미가 포함된 것은?
겸양법은 존자(尊者)에 대한 비자(卑者)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것이었다.
해설)
64후기 중세국어의 명령법 어미와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65다음 중 후기 중세국어의 의문문이 아닌 것은?
해설)
66후기 중세국어의 문장 구조와 관련된 설명으로 적절치 않은 것은?
해설)
67다음 중 근대국어의 '역학서(譯學書)'가 아닌 문헌은?
해설)
68근대국어의 문자 체계와 표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치 않은 것은?
해설)
69근대국어 시기에 나타난 음운 변화로 볼 수 없는 것은?
해설)
70근대국어 문법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해설)
문제답안
1221434341432321243414413231334142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