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M Library/☆ 기말시험 Data

방송대 방통대 중세국어의이해 기말시험 2013년도 2학기 3학년 / 올에이클래스 기출문제 모의고사

by DO, JINGWANG / ΛΙΙΛ™ 2024. 4. 20.
0-썸네일-중세국어의이해-기말-13-2-3
0-썸네일-중세국어의이해-기말-13-2-3
2013 학년도  2 학기  3 학년  101 문항
중세국어의이해
시험종류   :기말시험
출제위원   :방송대 이호권
출제범위   :교재[제1부 중세국어문법(3~171쪽)] 및 멀티미디어 강의 전범위
자료출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웹앱제작   :올에이클래스 김현수
01문자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해설)
02다음 초성자 가운데 발음기관의 모양을 본떠서 만든 기본자에 속하지 않는 것은?
해설)
03성조와 방점법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해설)
0415세기의 한글 표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해설)
05중세국어 한글 문헌 자료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해설)
06중세 한글 문헌과 그 내용이 잘못 연결된 것은?
해설)
07중세국어의 언해 자료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해설)
08다음 중 통사적 합성어로만 짝지어져 있는 것은?
해설)
09다음 단어에 포함된 파생접미사 가운데 그 성격이 나머지 셋과 다른 것은?
해설)
10다음 파생어 가운데 동사에서 형용사로 파생된 것은?
해설)
11중세국어에서 '나무'(木)를 뜻하는 단어는 다음과 같은 곡용형을 보인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나모, 나못, 나모도, 남기, 남, 남, 남
해설)
12이른바 'ㅎ' 종성체언인 '돌'(石)의 교체형이 잘못된 것은?
해설)
13중세국어에서 “마루”(宗, 棟)를 뜻하는 ''는 '~ㄹ'의 비자동적 교체를 보인다. 이 ''의 곡용형으로 잘못된 것은?
해설)
14중세국어 주격조사의 용례 가운데 잘못 표기된 것은?
해설)
15다음 중 속격조사의 용법이 잘못된 것은?
해설)
16다음 중 처격조사의 표기가 올바른 것은?
해설)
17밑줄 친 부분에 여격조사가 들어 있지 않은 것은?
해설)
18중세국어에서 존칭과 평칭에 따른 형태 구별이 없는 격조사는?
해설)
19다음 중 '강조'의 의미를 나타내는 보조사가 사용된 예는?
해설)
20다음 보기에 들어갈 의문의 보조사를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이 두 사미 眞實로 네 것(      )
이 엇던 光明(      )
해설)
21중세국어 용언 활용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해설)
22“나는 방송대 학생이다”에서의 '학생이다'를 중세국어로 표현하면?
해설)
23다음 중 경어법의 선어말어미가 아닌 것은?
해설)
24다음 중 선어말어미의 융합형(화합형)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25다음 의문문 가운데 설명의문문에 속하는 것은?
해설)
26다음 중 공손법의 등급이 나머지 셋과 다른 것은?
해설)
27다음 중 명령문이 아닌 것은?
해설)
28밑줄 친 부분에 들어 있는 연결어미의 기능이 나머지 셋과 다른 것은?
해설)
29밑줄 친 부분에 선어말어미 '-오/우-'가 들어 있지 않은 것은?
해설)
30밑줄 친 부분의 관형사형 어미가 명사적 용법으로 사용된 것은?
해설)
31밑줄 친 부분의 시제가 다른 하나는?
해설)
32다음 (            ) 안에 들어갈 올바른 어형은?
그 사미 글을 닑다
→ 그 사 (닑++오+ㄴ) 글
해설)
33다음의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는 '-'의 활용형은?
- 화자(말하는 이)는 청자(말 듣는 이)를 높이지 않는다.
- 주어가 화자보다 상위의 인물이다.
- 여격어나 목적어가 화자보다 상위의 인물이다.
- 여격어나 목적어가 주어보다 상위의 인물이다.
해설)
34“사 이 다봇 옮 호 슬노니”(두시언해 7:31)에서 '사 이'은 하위문에서 어떤 문장성분이 상위문에서 대격어로 나타난 것인가?
해설)
35다음 언해문의 밑줄 친 부분 가운데 한문 문장의 잔재로 보기 어려운 것은?
해설)
문제답안
3344241142432213413244323143411221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