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M Library/☆ 기말시험 Data

방송대 방통대 언어와생활 기말시험 2016년도 1학기 2학년 / 올에이클래스 기출문제 모의고사

by AN, TAEMIN / ΛΙΙΛ™ 2024. 4. 20.
0-썸네일-언어와생활-기말-16-1-2
0-썸네일-언어와생활-기말-16-1-2
2016 학년도  1 학기  2 학년  35 문항
언어와생활
시험종류   :기말시험
출제위원   :방송대 고성환
출제범위   :교재 및 강의 전 범위
자료출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웹앱제작   :올에이클래스 김현수
36통신 언어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해설)
37다음 □ 안의 밑줄 친 예들 중 통신 언어의 경제적 장치에 해당하는 것으로만 짝지어진 것은?
(가) 나 이제 겜 못하는 거임?
(나) 글 많이 못 올려서 죄송함다∼∼∼∼∼
(다) 해 볼려구 해두 사람들 눈치때메...
(라) 시간이 없어 나서요.
해설)
38다음은 통신 언어에서 나타나는 신어의 형성 방식과 그 예를 보인 것이다. 바르지 않은 것은?
해설)
39통신 언어의 유형 중 대화방 언어의 특징과 거리가 것은?
해설)
40다음 중 성별 방언의 예로 볼 수 있는 것은?
해설)
41다음 중 남자들이 비표준어를 선호하는 이유가 아닌 것은?
해설)
42다음 중 여성 발화의 음운적 특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해설)
43다음 □ 안의 사전 중 먼저 편찬된 것부터 순서대로 나열하면?
(가) 조선어사전
(나) 푸딜로(Pudillo, M)의 『노한사전(露韓辭典)』
(다) 『국한회어(國漢會語)』
(라) 『말모이』
해설)
44국어 사전의 표제어 선정에 관한 설명으로 바른 것은?
해설)
45사전의 음운 및 형태론적 정보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해설)
46다음은 사전의 뜻풀이 형식에 대한 설명이다. 다음 중 아래의 원칙에서 벗어나 있는 뜻풀이의 예는?
정의에서 뜻풀이의 기술 형식은 올림말의 문법 정보를 고려해서 그와 일치시킨다. 명사는 명사(형)으로, 동사나 형용사는 각각 동사와 형용사로, 부사와 관형사는 각각 그에 맞는 용언의 활용형으로 뜻풀이하는 것이 원칙이다
해설)
47북한 문화어의 발음에 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해설)
48다음 중 북한의 말다듬기 사업의 대상이 된 단어들로 짝지어진 것은?
해설)
49북한에서 새로 생겨난 말 중에서 사회주의 이념과 체제의 특징을 반영하고 있는 것은?
해설)
50북한어의 규범과 관련된 다음의 설명 중 바르지 않은 것은?
해설)
51다음 중 북한 사전에서 가장 앞에 나오는 단어는?
해설)
52다음 중 함경도 방언의 특징에 속하는 것은?
해설)
53다음의 번역문 중 가장 국어다운 문장은?
해설)
54다음은 영어 원문을 번역한 것이다. 가장 국어답지 않은 번역은?
해설)
55다음 중 일본에서 만들어진 뒤 우리가 그대로 가져다 쓰는 외래어가 아닌 것은?
해설)
56다음 중 주체경어법의 실현과 관계가 없는 요소는?
해설)
57다음 □ 안의 (가), (나)에 해당하는 상대경어법 등급으로 짝지어진 것은?
(가) 남편이 아내에게 존댓말로 하지 않을 때 쓰일 수 있는 등급이다.
(나) 장인/장모가 사위에게 쓰면 어울릴 등급이다.
해설)
58국어 경어법의 결정 요인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해설)
59다음 중 경어법상 바르지 않은 것은?
해설)
60부모에 대한 호칭ㆍ지칭에 관한 설명으로 바른 것으로만 짝지어진 것은?
(가) 살아계신 부모님에 대해 '아버님, 어머님'이라 할 수 있는 것은 편지를 쓸 때뿐이다.
(나) '선친(先親)'은 돌아가신 남의 아버지를 높여 지칭하는 말이다.
(다) 결혼한 이후에는 부모를 '아버님, 어머님'으로 높여 지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라) 조부모에게 돌아가신 아버지를 지칭할 때는 '아버지'라고 한다.
해설)
61시부모에 대한 호칭 및 지칭에 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해설)
62처부모, 사위에 대한 호칭, 지칭에 관한 다음의 설명 중 바른 것은?
해설)
63다음 중 시부모에게 남편을 지칭할 때 쓸 수 없는 말은?
해설)
64아내의 동기와 그 배우자에 대한 호칭, 지칭에 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해설)
65사돈 간의 호칭에 관한 설명으로 바른 것은?
해설)
66직장 내에서의 호칭, 지칭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해설)
67친구의 아내를 부르거나 가리킬 때에 대한 설명으로 바른 것은?
해설)
68가정이나 직장에서의 인사말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해설)
69특정한 때에 하는 다음의 인사말 중 바른 것은?
해설)
70다음 중 축의금이나 부의금의 단자에 들어가는 내용이 아닌 것은?
해설)
문제답안
243123131442313243312423413242143K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