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M Library/☆ 기말시험 Data

방송대 방통대 글과생각 기말시험 2017년도 1학기 1학년 / 올에이클래스 기출문제 모의고사

by AN, TAEMIN / ΛΙΙΛ™ 2023. 2. 23.
0-썸네일-글과생각-기말-17-1-1
0-썸네일-글과생각-기말-17-1-1
올에이클래스 이용안내 이미지입니다. 올에이클래스는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제외한 크롬엔진 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원활히 이용가능합니다.
2017 학년도     1 학기     1 학년     35 문항
글과생각
시험종류   :기말시험
출제위원   :방송대 박종성(36~46), 조남철(47~58), 이호권(59~70)
출제범위   :교재 및 강의 전 범위
자료출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웹앱제작   :올에이클래스 김현수

 

36다음 중 이규보의 <문조물>의 내용에 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37다음 중 묻고 답하는 대화체 방식을 활용하여 쓴 글끼리 바르게 묶인 것은?
38다음 중 정도전의 <답전부>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39다음 중 김부식의 <온달전>에 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40다음 중 <최칠칠전>의 특징으로 볼 수 없는 것은?
41다음은 <도자설>의 일부이다. 이 글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지금부터는 네가 마땅히 천하에 독보적인 존재가 될 것이다. 무릇 사람의 기술은, 남에게 배운 것은 그 분수가 한계가 있지만 자기 마음에서 얻은 것은 응용이 끝이 없거늘 하물며 곤궁하고 답답한 것이 사람의 뜻을 굳게 할 수 있고 사람의 심성을 단련케 하는 것에는 어떻겠느냐. 내가 너를 곤궁함에 처하게 한 것은 너를 편안하게 하려 한 것이며 내가 너를 위험 속에 빠뜨린 것은 너를 구해 내려 한 것이다. 보장 속에 들어간 것과 급박하게 쫓기는 어려움이 있지 않았다면 네가 쥐가 갉아먹는 소리를 내거나 못에 돌을 던지는 것과 같은 기발한 꾀를 낼 수 있었겠느냐. 네가 궁지에 빠지자 지혜를 터득하고, 변을 당하고서야 기이한 계략을 내었으니 마음이 한 번 열리면 다시 미혹되지 않아 너는 마땅히 천하에 독보적인 존재가 될 것이다.” 하였다. 뒷날 과연 천하에 대적하기 어려운 도적이 되었다. 도적은 악한 술수이지만 이것도 반드시 자득한 후에야 천하에 대적할 자가 없을 것인데 하물며 사군자(士君子)로서 도덕 공명이 있는 자는 어떻겠느냐.
42다음 중 <밀봉설>에 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43다음 중 <농아광지>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44다음 중 <유수묘지명>에 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45다음 중 허균의 <문설>에 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46다음은 박지원의 <소단적치인>이다. 빈 칸에 들어갈 것을 순서대로 맞게 짝지은 것은?
글을 잘 짓는 자는 병법도 잘 알 것이다. 글자는 비유하자면       요, 글 뜻은       요, 제목은       이요.             은 전장의 진지를 구축하는 것이요. 글자를 묶어서 구(句)를 만들고 구를 모아서 장(章)을 이루는 것은 대오를 이루어 행군하는 것과 같다.
47다음은 한용운의 <조선 독립에 대한 감상의 개요>의 한 대목이다. 괄호 안에 공통으로 들어갈 말은 무엇인가?
한 민족이 다른 민족의 간섭을 받지 않으려 하는 것은 인류가 공통으로 가진 본성으로서 이 같은 본성은 남이 꺾을 수 없는 것이며, 또한 스스로 자기 민족의 (            )을(를) 억제하려 하여도 되지 않는 것이다. 이 (            )는(은) 항상 탄력성을 가져 팽창의 한도, 즉 독립 자존의 길에 이르지 않으면 멈추지 않는 것이니 조선의 독립을 감히 침해하지 못할 것이다.
48한용운에 대한 다음의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49신채호의 <조선혁명선언>에 표명된 민족해방운동 방략의 핵심은 무엇인가?
50이광수의 문학적 행적에 대한 다음의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51다음 보기 중 미당 서정주와 관련된 내용만으로 묶인 것은?
ㄱ. <지원병을 기리며>, <내선 청년에게 부침> 등의 글을 통해 조선이 일본에 완전하게 통합되는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ㄴ. 친일 어용 문학지 <국민문학>과 <국민시가>의 편집일을 맡았다.
ㄷ. 1939년 친일어용단체 '조선문인협회' 회장이 되었다.
ㄹ. <항공일에>(1943), <오장 마쓰이 송가>(1944) 등의 친일 시를 발표하였다.
52조지훈에 대한 다음의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53다음은 함석헌의 <들사람 얼>의 한 대목이다. 괄호 안에 공통으로 들어갈 말은 무엇인가?
지금 우리나라에 필요한 것은 들사람이다. 우리는 지금 (            )의 해독을 가장 심히 받고 있는 나라다. 그 원인은 우리가 급작히 남의 (            )을/를 받아들이기 때문이다. 본래 (            )은/는 제가 스스로 낳아야 하는 것이다.
54함석헌에 관한 다음의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55김수영이 <실험적인 문학과 정치적 자유>(1968)에서 “모든 살아 있는 문화는 본질적으로 불온한 것”이라고 표현하며 주장하고자 한 것은?
56오늘날 유대인뿐 아니라 아르메니아인, 팔레스타인인 등 다양한 '이산의 백성'을 좀 더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말은 무엇인가?
57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글은 무엇인가?
김창걸이 1943년 교하에서 쓴 미발표작으로, 1940년대 식민 암흑기의 상황을 잘 보여주는 글이다. 당시 <만선일보>로부터 <대동아전쟁과 문필가의 각오>라는 친일적인 글을 청탁받고 문인으로서의 죄의식에 시달렸던 김창걸은, 갈등과 참회 끝에 이 글을 쓰면서 자신의 작가정신을 다시금 다지게 되었다.
58다음의 내용 중 사실과 거리가 것은?
59김완진 교수의 <언어와 문화적 가치>란 글에서 주장한 바와 거리가 것은?
60다음은 로만 야콥슨(R. Jacobson)이 제시한 언어의 여섯 가지 기능 가운데 어느 기능에 관련되는가?
- 영어의 '파더(father)'는 우리말에서 '아버지'라는 말이다.
- 새로운 어휘를 습득하고 외국어를 배울 때 필요한 언어의 기능
61다음 중 언어의 명령적 기능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62다음의 대화에서 가장 두드러진 언어의 기능은?
영희: 아저씨, 안녕하세요? 어디 가세요?
아저씨: 응, 영희로구나. 학교 갔다 오니?
영희: 날씨 참 좋지요?
아저씨: 응, 다음에 또 보자.
63최만리 등의 <언문 창제 반대 상소문>에 나타나는 한글 창제 반대의 이유가 아닌 것은?
64다음 글에서 밑줄 친 계해년(癸亥年)은 구체적으로 언제인가?
계해년 겨울에 우리 전하께서 정음 28자를 창제하시고, 간략하게 예의(例義)를 들어 보이시고 이름을 훈민정음이라고 지으셨다. 상형(象形)해서 만들되 글자 모양은 중국의 고전(古篆)을 본떴고, 소리를 바탕으로 하였으므로 음은 칠조(七調)에 맞는다.
65다음의 내용이 수록된 글은?
이 28글자로 전환이 무궁하여 간단하면서도 요긴하고 자세하면서도 통하는 까닭에, 슬기로운 사람은 하루아침을 마치기도 전에 깨우치고, 어리석은 사람이라도 열흘이면 배울 수 있다.
66다음은 표준어 사정 원칙 제1장 제1항의 내용이다. 빈 칸에 들어갈 말이 올바로 짝지어진 것은?
표준어는 ( a )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 b ) 서울말로 정함을 원칙으로 한다.
67표준어가 가지는 기능으로 볼 수 없는 것은?
68<우리나라의 방언과 국문학>에서 설명한 내용과 거리가 것은?
69문자언어가 소리언어의 대역 이상의 독자적 기능을 가지고 있음을 뒷받침해 주는 진술이 아닌 것은?
70한글과 한자를 섞어 쓰자는 국한혼용론을 주장하는 입장에서 논리적 근거로 내세우기 어려운 것은?

중복답안 가이드
A1, 2E2, 4I1, 3, 4
B1, 3F3, 4J2, 3, 4
C1, 4G1, 2, 3K1, 2, 3, 4
D2, 3H1, 2, 4

No정답선택채점바로가기
363
374
383
393
402
412
422
432
444
451
461
472
48C
493
504
514
524
532
542
554
564
573
583
592
604
611
623
632
641
652
661
673
684
691
70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