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M Library/★ 계절시험 Data

방송대 방통대 기초한자 계절시험 기출문제 2018년도 동계학기 N학년 / 올에이클래스 모의고사

by GO, EUNJUNG / ΛΙΙΛ™ 2024. 6. 24.
0-썸네일-기초한자-계절-18-동계-N
0-썸네일-기초한자-계절-18-동계-N
올에이클래스 이용안내 이미지입니다.
2018 학년도  동계 학기  N 학년  50 문항
기초한자
시험종류   :계절시험
출제위원   :방송대 안병국
출제범위   :방송강의6강~15강 및 해당교재(2015)
자료출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웹앱제작   :올에이클래스 김현수
01(1~5) 다음 설명한 우리말의 한자로 올바른 것을 고르시오.
탐욕(욕심이 많다)
해설)
02(1~5) 다음 설명한 우리말의 한자로 올바른 것을 고르시오.
해학(웃기면서 교훈이 있다)
해설)
03(1~5) 다음 설명한 우리말의 한자로 올바른 것을 고르시오.
사부(스승)
해설)
04(1~5) 다음 설명한 우리말의 한자로 올바른 것을 고르시오.
징집(군대로 소집을 당하다)
해설)
05(1~5) 다음 설명한 우리말의 한자로 올바른 것을 고르시오.
정원(집에서 화초를 기르는 곳)
해설)
06(6~8) 다음 제시된 낱말의 유의어를 고르시오.
輕率
해설)
07(6~8) 다음 제시된 낱말의 유의어를 고르시오.
範疇
해설)
08(6~8) 다음 제시된 낱말의 유의어를 고르시오.
交涉
해설)
09(9~10) 다음 제시된 낱말의 유의어가 아닌 것을 고르시오.
源泉
해설)
10(9~10) 다음 제시된 낱말의 유의어가 아닌 것을 고르시오.
卑賤
해설)
11(11~13) 다음 단어의 독음이 틀린 것을 고르시오.
해설)
12(11~13) 다음 단어의 독음이 틀린 것을 고르시오.
해설)
13(11~13) 다음 단어의 독음이 틀린 것을 고르시오.
해설)
14(14~16) 다음 중 상대어 관계가 아닌 것을 고르시오.
해설)
15(14~16) 다음 중 상대어 관계가 아닌 것을 고르시오.
해설)
16(14~16) 다음 중 상대어 관계가 아닌 것을 고르시오.
해설)
17(17~19) 다음 제시된 뜻에 합당한 유의자를 고르시오.
어떤 일을 다른 사람에게 맡김
해설)
18(17~19) 다음 제시된 뜻에 합당한 유의자를 고르시오.
새어 나감
해설)
19(17~19) 다음 제시된 뜻에 합당한 유의자를 고르시오.
도덕・질서・규범 따위가 어지러움
해설)
20(20~22) 다음 제시된 독음에 알맞은 유의자(類義字)를 고르시오.
歌 – 요:동요나 노래
해설)
21(20~22) 다음 제시된 독음에 알맞은 유의자(類義字)를 고르시오.
倦 – 태:게으름
해설)
22(20~22) 다음 제시된 독음에 알맞은 유의자(類義字)를 고르시오.
龜 – 열:갈라지다
해설)
23(23~25) 다음 제시된 한자의 상대자를 고르시오.
해설)
24(23~25) 다음 제시된 한자의 상대자를 고르시오.
해설)
25(23~25) 다음 제시된 한자의 상대자를 고르시오.
해설)
26(26~28) 다음 상대자의 독음이 옳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해설)
27(26~28) 다음 상대자의 독음이 옳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해설)
28(26~28) 다음 상대자의 독음이 옳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해설)
29(29~32) 동음이의어끼리 짝지어지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해설)
30(29~32) 동음이의어끼리 짝지어지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해설)
31(29~32) 동음이의어끼리 짝지어지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해설)
32(29~32) 동음이의어끼리 짝지어지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해설)
33(33~36) 다음 제시된 설명에 적당한 한자어를 찾으시오.
상장이나 상품ㆍ상금 따위를 줌
해설)
34(33~36) 다음 제시된 설명에 적당한 한자어를 찾으시오.
고치어 다시 정함
해설)
35(33~36) 다음 제시된 설명에 적당한 한자어를 찾으시오.
어떤 분야에서 가장 뛰어난 사람
해설)
36(33~36) 다음 제시된 설명에 적당한 한자어를 찾으시오.
특별히 빼어남
해설)
37(37~50) 다음 (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고르시오.
去頭(      )尾
해설)
38(37~50) 다음 (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고르시오.
錦上(      )花
해설)
39(37~50) 다음 (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고르시오.
門前(      )市
해설)
40(37~50) 다음 (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고르시오.
(      )機之戒:학업을 중단해서는 안됨
해설)
41(37~50) 다음 (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고르시오.
本末顚(      ):근본과 말단이 뒤집힘
해설)
42(37~50) 다음 (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고르시오.
夫唱婦(      ):부부의 화합하는 도리
해설)
43(37~50) 다음 (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고르시오.
(      )門不出:문을 막고 나가지 않음
해설)
44(37~50) 다음 (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고르시오.
(      )木求魚:나무에 올라가서 물고기를 구하려 함
해설)
45(37~50) 다음 (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고르시오.
不(      ):나이 마흔 살을 말함
해설)
46(37~50) 다음 (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고르시오.
(      )世之感:세상과 틈이 나는 느낌
해설)
47(37~50) 다음 (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고르시오.
(      )想天外:기발하고 엉뚱함
해설)
48(37~50) 다음 (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고르시오.
同病相(      ):같은 병 환자끼리 서로 가엽게 여김
해설)
49(37~50) 다음 (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고르시오.
今時初(      )
해설)
50(37~50) 다음 (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고르시오.
守(      )待兎:나무 그루터기를 지키며 토끼를 기다림
해설)
채점하기 이미지
초기화하기 이미지
문제답안
23121423423413314413443323414234233232222123441411

타년도 바로가기 이미지
문제 다운로드 바로가기 이미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