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M Library/★ 계절시험 Data

방송대 방통대 기초한자 계절시험 기출문제 2015년도 동계학기 N학년 / 올에이클래스 모의고사

by GO, EUNJUNG / ΛΙΙΛ™ 2024. 6. 24.
0-썸네일-기초한자-계절-15-동계-N
0-썸네일-기초한자-계절-15-동계-N
올에이클래스 이용안내 이미지입니다.
2015 학년도  동계 학기  N 학년  50 문항
기초한자
시험종류   :계절시험
출제위원   :방송대 안병국
출제범위   :방송강의 6강~15강 및 해당 교재(2015년 개정 1쇄)
자료출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웹앱제작   :올에이클래스 김현수
01(1~6) 다음 설명한 우리말의 한자로 올바른 것을 고르시오.
박명 (목숨이 길지 않다)
해설)
02(1~6) 다음 설명한 우리말의 한자로 올바른 것을 고르시오.
완벽 (일을 완성하다)
해설)
03(1~6) 다음 설명한 우리말의 한자로 올바른 것을 고르시오.
징집 (군대로 소집을 당하다)
해설)
04(1~6) 다음 설명한 우리말의 한자로 올바른 것을 고르시오.
정원 (집에서 화초를 기르는 곳)
해설)
05(1~6) 다음 설명한 우리말의 한자로 올바른 것을 고르시오.
혹서 (아주 심한 더위)
해설)
06(1~6) 다음 설명한 우리말의 한자로 올바른 것을 고르시오.
지엽 (가지와 낙엽)
해설)
07(7~10) 다음 가운데 한자어의 독음이 잘못 사용된 한자어를 고르시오
해설)
08(7~10) 다음 가운데 한자어의 독음이 잘못 사용된 한자어를 고르시오
해설)
09(7~10) 다음 가운데 한자어의 독음이 잘못 사용된 한자어를 고르시오
해설)
10(7~10) 다음 가운데 한자어의 독음이 잘못 사용된 한자어를 고르시오
해설)
11(11~13) 제시된 한자의 상대자를 고르시오.
해설)
12(11~13) 제시된 한자의 상대자를 고르시오.
해설)
13(11~13) 제시된 한자의 상대자를 고르시오.
해설)
14(14~16) 제시된 뜻에 맞는 상대자를 고르시오.
시험에 붙음과 떨어짐
해설)
15(14~16) 제시된 뜻에 맞는 상대자를 고르시오.
손실과 이익
해설)
16(14~16) 제시된 뜻에 맞는 상대자를 고르시오.
지혜로움과 어리석음
해설)
17(17~18) 제시된 뜻에 합당한 유의자를 고르시오.
몹시 심함
해설)
18(17~18) 제시된 뜻에 합당한 유의자를 고르시오.
도탑고 성실함
해설)
19(19~21) 유의자 관계가 아닌 것을 고르시오.
해설)
20(19~21) 유의자 관계가 아닌 것을 고르시오.
해설)
21(19~21) 유의자 관계가 아닌 것을 고르시오.
해설)
22(22~25) 상대어 관계가 아닌 것을 고르시오
해설)
23(22~25) 상대어 관계가 아닌 것을 고르시오
해설)
24(22~25) 상대어 관계가 아닌 것을 고르시오
해설)
25(22~25) 상대어 관계가 아닌 것을 고르시오
해설)
26(26~29) 다음 제시된 단어의 상대어를 고르시오.
派遣
해설)
27(26~29) 다음 제시된 단어의 상대어를 고르시오.
膨脹
해설)
28(26~29) 다음 제시된 단어의 상대어를 고르시오.
稀少
해설)
29(26~29) 다음 제시된 단어의 상대어를 고르시오.
沈滯
해설)
30(30~32) 다음 제시된 단어의 유의어를 고르시오
艱難:힘들고 어려움
해설)
31(30~32) 다음 제시된 단어의 유의어를 고르시오
輕率:말이나 행동이 조심성 없이 가벼움
해설)
32(30~32) 다음 제시된 단어의 유의어를 고르시오
敦篤:인정이 도탑고 성실함
해설)
33(33~37) 다음 제시된 설명에 적당한 한자어를 찾으시오.
조심하지 아니하여 잘못함
해설)
34(33~37) 다음 제시된 설명에 적당한 한자어를 찾으시오.
고치어 다시 정함
해설)
35(33~37) 다음 제시된 설명에 적당한 한자어를 찾으시오.
어떤 분야에서 가장 뛰어난 사람
해설)
36(33~37) 다음 제시된 설명에 적당한 한자어를 찾으시오.
술을 한꺼번에 많이 마심
해설)
37(33~37) 다음 제시된 설명에 적당한 한자어를 찾으시오.
관찰할 수 있는 사물의 형상
해설)
38(38~43) 다음 (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고르시오.
(      )世之感
해설)
39(38~43) 다음 (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고르시오.
奇(      )天外
해설)
40(38~43) 다음 (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고르시오.
名(      )相(      ):명분과 실질이 서로 딱 맞음
해설)
41(38~43) 다음 (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고르시오.
西施嚬(      )
해설)
42(38~43) 다음 (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고르시오.
守株(      )兎
해설)
43(38~43) 다음 (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고르시오.
漁父之(      )
해설)
44(44~46) 다음 제시된 성어와 비슷한 뜻을 가진 성어를 고르시오.
焉敢生心
해설)
45(44~46) 다음 제시된 성어와 비슷한 뜻을 가진 성어를 고르시오.
一擧兩得
해설)
46(44~46) 다음 제시된 성어와 비슷한 뜻을 가진 성어를 고르시오.
自業自得
해설)
47(47~50) 다음 고사의 내용에 맞는 성어를 고르시오.
畵(      )點(      ):가장 요긴한 부분을 마치어 일을 끝냄.
해설)
48(47~50) 다음 고사의 내용에 맞는 성어를 고르시오.
破(      )(      ):이제까지 아무도 하지 못한 일을 성취함.
해설)
49(47~50) 다음 고사의 내용에 맞는 성어를 고르시오.
(      )興差(      ):심부름을 가서 아무 소식이 없음.
해설)
50(47~50) 다음 고사의 내용에 맞는 성어를 고르시오.
(      )(      )之勢:대가 쪼개지는 형세.
해설)
채점하기 이미지
초기화하기 이미지
문제답안
312121421A2333144334241334213434333314312434322313

타년도 바로가기 이미지
문제 다운로드 바로가기 이미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