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M Library/★ 계절시험 Data

방송대 방통대 기초한자 계절시험 기출문제 2013년도 동계학기 N학년 / 올에이클래스 모의고사

by GO, EUNJUNG / ΛΙΙΛ™ 2024. 6. 24.
0-썸네일-기초한자-계절-13-동계-N
0-썸네일-기초한자-계절-13-동계-N
2013 학년도  동계 학기  N 학년  50 문항
기초한자
시험종류   :계절시험
출제위원   :방송대 안병국
출제범위   :방송강의 교재(2010년 발행) 전체 (제2부 6과, 7과 및 제4부 제외)
자료출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웹앱제작   :올에이클래스 김현수
01지사자에 대한 설명이 옳은 것을 고르시오.
해설)
02형성자의 조합 방법이 다른 셋과 다른 하나를 고르시오.
해설)
03다음 병렬구조에서 대립관계를 이루고 있는 한자어를 고르시오.
해설)
04다음 병렬구조에서 대등관계를 이루고 있는 한자어를 고르시오.
해설)
05다음에서 관형어 수식구조를 이루고 있는 것을 고르시오.
해설)
06다음에서 부사어 수식구조를 이루고 있는 것을 고르시오.
해설)
07다음에서 술목구조를 이루고 있는 것을 고르시오.
해설)
08다음 한자어 가운데 주술구조를 이루고 있는 것을 고르시오.
해설)
09다음 한자어 중 구조가 다른 하나를 고르시오.
해설)
10다음 한자어 중 같은 구조로 연결된 한자어를 고르시오.
해설)
11다음 중 '肉' 부수에 속하지 않는 한자는?
해설)
12다음 중 '衣' 부수에 속하지 않는 한자는?
해설)
13다음 중 부수와 독음이 올바르게 연결된 것은?
해설)
14다음 중 상용한자로 쓰이지 않는 부수자는?
해설)
15다음에서 상대자로 연결되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해설)
16다음에서 상대어로 연결되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해설)
17(17~18) 다음 제시된 漢字의 類義字를 고르시오.
해설)
18(17~18) 다음 제시된 漢字의 類義字를 고르시오.
해설)
19다음 제시된 단어의 類義語를 고르시오.
遝至
해설)
20다음에서 유의어 관계가 아닌 것을 고르시오.
해설)
21다음 제시된 단어와 유의어 관계가 아닌 것을 고르시오.
秋毫
해설)
22(22~23) 다음 설명한 우리말의 한자로 올바른 것을 고르시오.
정원:집에서 화초를 기르는 곳
해설)
23(22~23) 다음 설명한 우리말의 한자로 올바른 것을 고르시오.
박명:목숨이 길지 않다.
해설)
24(24~25) 다음 한자의 독음이 잘못 연결된 것을 고르시오.
해설)
25(24~25) 다음 한자의 독음이 잘못 연결된 것을 고르시오.
해설)
26(26~28) 다음 밑줄 친 글자에 해당하는 한자어를 고르시오.
환기가 잘되는 방
해설)
27(26~28) 다음 밑줄 친 글자에 해당하는 한자어를 고르시오.
사행심을 조장하다.
해설)
28(26~28) 다음 밑줄 친 글자에 해당하는 한자어를 고르시오.
이상을 추구하다.
해설)
29(29~30) 다음 한자어의 독음으로 올바른 것으로 고르시오.
拾得
해설)
30(29~30) 다음 한자어의 독음으로 올바른 것으로 고르시오.
否塞
해설)
31(31~33)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끼리 짝지어진 것을 고르시오.
目不(      )(      ):몹시 딱하거나 참혹하여 차마 눈을 뜨고 볼 수 없음.
해설)
32(31~33)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끼리 짝지어진 것을 고르시오.
(      )和(      )同:주관 없이 남이 하는 대로 따라함.
해설)
33(31~33) (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끼리 짝지어진 것을 고르시오.
見(      )(      )劍:모기를 보고 검을 뺀다. 하찮은 일에 너무 거창하게 덤빈다는 말.
해설)
34(34~35) 다음 제시된 성어와 상대적인 뜻을 가진 성어를 고르시오.
會者定離
해설)
35(34~35) 다음 제시된 성어와 상대적인 뜻을 가진 성어를 고르시오.
名實相符
해설)
36(36~37) 유사한 成語끼리 짝지어진 것이 아닌 것을 고르시오.
해설)
37(36~37) 유사한 成語끼리 짝지어진 것이 아닌 것을 고르시오.
해설)
38(38~41) 다음 고사성어의 완성에 알맞은 것을 고르시오.
滄海(      )(      ):'보잘것없는 존재'를 비유하여 이르는 말.
해설)
39(38~41) 다음 고사성어의 완성에 알맞은 것을 고르시오.
身(      )書(      ):인재를 등용하는 네 가지 조건.
해설)
40(38~41) 다음 고사성어의 완성에 알맞은 것을 고르시오.
乾坤一(      )
해설)
41(38~41) 다음 고사성어의 완성에 알맞은 것을 고르시오.
捲土(      )來
해설)
42(42~43) 제시된 고사성어와 비슷한 뜻의 성어를 고르시오.
見危授命
해설)
43(42~43) 제시된 고사성어와 비슷한 뜻의 성어를 고르시오.
守株待兎
해설)
44(44~46) 고사의 내용에 맞는 성어를 고르시오.
(      )(      )三絶:공자가 주역을 깊이 연구함.
해설)
45(44~46) 고사의 내용에 맞는 성어를 고르시오.
(      )興差(      ):심부름을 가서 아무 소식이 없음.
해설)
46(44~46) 고사의 내용에 맞는 성어를 고르시오.
格物(      )(      ):사물에 나아가 앎을 이룸.
해설)
47(47~50) 다음 설명한 우리말 한자로 올바른 것으로 고르시오.
본적:본래 태어난 곳
해설)
48(47~50) 다음 설명한 우리말 한자로 올바른 것으로 고르시오.
선풍:회오리 바람
해설)
49(47~50) 다음 설명한 우리말 한자로 올바른 것으로 고르시오.
면세:세금을 면해주다.
해설)
50(47~50) 다음 설명한 우리말 한자로 올바른 것으로 고르시오.
권고:상대방에게 좋은 방향으로 인도하다.
해설)
문제답안
1334212111321343224431314322213134234144423112114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