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M Library/★ 계절시험 Data

방송대 방통대 문학의이해 계절시험 기출문제 2017년도 하계학기 N학년 / 올에이클래스 모의고사

by AN, TAEMIN / ΛΙΙΛ™ 2024. 6. 23.
0-썸네일-문학의이해-계절-17-하계-N
0-썸네일-문학의이해-계절-17-하계-N
2017 학년도  하계 학기  N 학년  50 문항
문학의이해
시험종류   :계절시험
출제위원   :방송대 박태상, 김신정, 이상진
출제범위   :교재 및 방송강의 전 범위
자료출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웹앱제작   :올에이클래스 김현수
01M. H. 에이브럼즈는 『거울과 램프』에서 문학을 우주ㆍ독자ㆍ작가ㆍ작품의 네 가지 좌표로 나누었는데, 그중에서 '작가'에 해당하는 관점은?
해설)
(2~4) 다음의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다른 동물은 종족 보존과 생명보존을 위하여 모든 정력을 다 바치지만, 사람은 그것만이 아니라, ( 가 )가(이) 있기 때문에 그것이 유희본능의 시원이 된다. 그리고 예술은 이 유희본능이 밖으로 나타난 것에 지나지 않는다. 이렇게 주장한 ( 나 )에 의하면 예술은 실제생활과는 관계가 없는 것이 된다. 그것은 칸트가 ( 다 )(이)라고 예술을 무상성으로 규정한 것과 통한다.
02위의 ( 가 )에 들어갈 말은?
해설)
03위의 주장을 한 학자는?
해설)
04칸트가 한 말로, ( 다 )에 들어갈 말은?
해설)
05다음 중 '과학적 언어'에 해당되는 것은?
해설)
06사랑은 “美를 향유하려고 하는 정신의 강렬한 파토스적 충동”이라고 말한 학자는?
해설)
(7~8) 다음의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아리스토텔레스는 『정치학』에서 음악의 교육적 효과와 나란히 ( 가 )적 효과를 들고 있는 것을 보아도 알 수 있듯이, ( 가 )은(는) 비극이나 어떤 종류의 음악 등과 같은 예술에 수반되는 미적 효과이며 울적한 감정을 쏟아버림으로써 정신을 정서의 압박으로부터 해방시키고, 일종의 쾌락을 주는 것이다. 그는 비극의 구성요소로서 줄거리ㆍ성격ㆍ사상ㆍ대사ㆍ선율ㆍ장면을 들었지만, 그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으로 '줄거리', 즉 모방의 대상이 되는 ( 나 )의 전개를 들었다.
07위의 글 ( 가 )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유명한 예술 이론이 거론되는 데, 그것의 이름은?
해설)
08위의 ( 나 )는 '급전 - 발견 - 파토스'라는 유명한 이론으로 전개되는 장면인데, (나)에 들어갈 말은?
해설)
09표현론에서 '영감설'에 해당하는 것은?
해설)
10그레브스타인이 역사전기적 비평의 여섯 가지 주요 요소로 열거한 것이 아닌 것은?
해설)
11신비평가 중에서 시를 분석하는 중요한 도구로 '결(texture)'을 사용한 비평가는?
해설)
12다음 중 사회문화적 비평의 이론가인 아놀드 하우저(A. Hauser)의 대표적인 저서는?
해설)
13프로이트는 '설명할 수 없는 말실수와 잘못된 기억ㆍ서투른 실수ㆍ오독ㆍ물건 잊어버리는 것도 무의식적인 소망이나 의도에 연결 될 수 있다고 보았는데, 이것을 무엇이라고 학술적으로 명명했는가?
해설)
14융(G. Jung)은 인간의 정신 구조 속에 자리 잡고 있는 집단무의식의 내용들을 무엇이라고 불렀는가?
해설)
15해석자의 수동성을 독단의 측면과 전수된 텍스트들의 어떤 규칙에서 이해하는 자에게 나타나는 전통이라는 권위의 측면에서 다시 간명하게 표현한 학자는?
해설)
16김정일이 창안했다는 '종자론'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가?
해설)
171980년대 북한 소설문학의 특성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해설)
18다음 중 '언어의 과학적 용법'과 '언어의 정서적 용법'에 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해설)
19다음 중 언어의 내연적 의미와 외연적 의미에 대한 설명에 해당 하는 것은?
해설)
20다음은 시어의 특성 가운데 어떤 용어에 대한 설명인가?
(            )은 '두 길로 감'이라는 뜻이다. 일상에서는 두 가지 길을 선택하면 혼란이 발생하지만, 시의 경우는 다르다. 시에서는 하나의 길이 아니라 둘 이상의 길을 선택하여 언어의 뉘앙스를 풍부하게 하는 것이 시어의 함축성을 강화하는 방법이다.
해설)
21다음 중 서정시의 특성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해설)
22한국 시인 중에서 의도적으로 띄어쓰기를 생략함으로써, 규칙의 파괴와 일탈을 통해 개성있는 운율을 표현한 시인은 누구인가?
해설)
23다음 중 이미지에 대한 설명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해설)
24다음 중 이미지의 유형이 다른 하나는?
해설)
25다음 시에서 활용된 이미지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북망 이래도 금잔디 기름진데 동그만 무덤들 외롭지 않어이.

무덤 속 어둠에 하이얀 촉루(燭護)가 빛나리. 향기로운 주검 윗내도 풍기리.

살아서 설던 주검 죽었으매 이내 안 서럽고, 언제 무덤 속 화 안히 비춰줄 그런 태양만이 그리우리.

금잔디 사이 할미꽃도 피었고, 삐이 삐이 배, 뱃종! 뱃종! 멧새들도 우는데, 봄볕 포군한 무덤에 주검들이 누웠네.
- 박두진, 『묘지송』, 전문
해설)
26다음 중 운율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27다음 시에 사용된 가장 중심적인 이미지는?
새벽마다 고요히 꿈길을 밟고 와서
머리맡에 찬 물을 쏴 퍼붓고는
그만 가슴을 디디면서 멀리 사라지는
북청 물장수

물에 젖은 꿈이
북청 물장수를 부르면
그는 삐걱삐걱 소리를 치며
온 자최도 없이 다시 사라진다.
- 김동환, 『북청 물장수』 부분
해설)
28대유법에 관한 다음 설명 가운데 옳지 않은 것은?
해설)
29다음 중 은유와 상징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해설)
30다음 중 경수필(informal essay)의 특징에 해당되는 것은?
해설)
31다음 중 수필의 특성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해설)
32다음 중 1930년대의 대표적인 시인에 해당하지 않는 사람은?
해설)
33다음 중 1910년대 시문학에 대한 설명에 해당되는 것은?
해설)
34근대적인 소설(novel)의 가장 핵심적인 특성은?
해설)
(35~36) 다음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 작가의 상상에 의해 꾸며낸 것이다.
(나) 완성된 텍스트를 대상으로 평가한 것이다.
(다) 사실성과 기록성을 중시하는 작은 이야기이다.
(라) 누군가를 통해 이야기되는 서술의 중개성을 가진다.
(마) 이야기를 인물 간의 대화를 통해 극적으로 제시한 것이다.
35위에서 소설의 본질적인 특성에 대한 항으로 짝지어진 것은?
해설)
36위에서 희곡의 본질적인 특성을 지적하고 있는 것은?
해설)
37현재 한국에서 쓰이는 '소설' 개념에 가장 가까운 것은?
해설)
38다음 중 소설의 플롯에 대한 설명은?
해설)
39포스터(E. M. Forster)가 제시한 것으로 다음 설명에 해당되는 인물유형은?
작가가 그 인물의 특징적인 일면만을 계속 집중적으로 제시할 때 조성된다. 이러한 인물은 쉽게 알아보고 기억하기 좋은 장점은 있으나, 유형화되고 희극적인 느낌을 주어 진실성이 없게 보인다.
해설)
40다음은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의 단편소설 『코』의 일부이다. 적절한 설명은?
오십을 넘긴 나이구(內供)는 어릴 적부터 궁중 승려가 된 지금까지 내심 처음부터 이 코 때문에 고민을 하였다. 물론 겉으로는 지금도 별로 신경을 쓰지 않고 있는 것처럼 하고 있다. 이것은 불덕을 쌓아 사람들의 추앙을 받고 있는 승려의 몸이 코로 고민을 하고 있는 것이 좋지 않아서만은 아니다. 그것보다는 오히려 자신이 코로 고민을 하고 있는 것이 좋지 않아서이다.
해설)
41황석영의 『삼포 가는 길』에서 삼포라는 공간은 어떤 의미로 해석할 수 있는가?
해설)
42주로 심리소설, 일기체나 서간체 소설 등에서 많이 선택되는 시점으로, 통일성과 응집력이 있으나 객관적 제시에서 제한이 있는 시점은?
해설)
43'도입-상승-정점-하강-파국'의 피라미드식 구성은 다음 중 어떤 유형에서 주로 나타나는 극구성인가?
해설)
44해학을 기발하게 표현하여 사람을 웃길 목적으로 지은 것으로 '저속한 코미디'로 불리는 희곡 장르는?
해설)
45희곡을 왜 '구멍 뚫린 텍스트'라고 부르는가?
해설)
46이광수의 계몽주의 문학을 비판하고 예술적 자율성을 강조하였으며, 최초의 순수 문예동인지 <창조> 창간을 주도한 소설가는?
해설)
47한국소설의 흐름에 대한 설명이 제대로 된 것은?
해설)
48다음 중 이효석의 소설세계의 특징과 거리가 것은?
해설)
491918년 겨울을 배경으로 동경유학생인 주인공 이인화가 귀국길에 목격하는 조선의 암담한 현실을 사실적이고 냉정하게 그리고 있는 염상섭의 소설은?
해설)
501930년대 중반 집중적으로 발표한 풍자소설인 『레디메이드 인생』, 『치』, 『탁류』, 『태평천하 등은 1930년대 암울한 환경을 우회적으로 그리는 세련되고 효과적인 기법을 보여준 작가는?
해설)
문제답안
1343211314424134321332424334212312134311212333244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