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M Library/☆ 기말시험 Data

방송대 방통대 영어학의이해 기말시험 2015년도 1학기 3학년 / 올에이클래스 기출문제 모의고사

by PYO, JUNWHAN / ΛΙΙΛ™ 2024. 5. 8.
0-썸네일-영어학의이해-기말-15-1-3
0-썸네일-영어학의이해-기말-15-1-3
2015 학년도  1 학기  3 학년  35 문항
영어학의이해
시험종류   :기말시험
출제위원   :방송대 안승신
출제범위   :멀티미디어강의 1~12강 및 교재 해당 부분 (단, 5강 제외)
자료출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웹앱제작   :올에이클래스 김현수
01영어학의 주된 연구 분야가 아닌 것은?
해설)
02다음 지문에서 괄호에 들어갈 적절한 동사는 무엇인가?
In 1762 Bishop Lowth (            ) new rules for English. Before the publication of his grammar, everyone said I don't have none, You was wrong about that, and Mathilda is fatter than me.
해설)
03구조문법의 특징이 아닌 것은?
해설)
04변형생성문법의 특징으로서 바른 것은?
해설)
05다음은 어떤 문법의 특성을 말하는가?
Every human being who speaks a language knows its grammar. When linguists wish to describe a language, they attempt to describe the rules of the language that exists in the minds of its speakers.
해설)
06자음의 자질표시가 바르지 않은 것은?
해설)
07다음 음의 조음점으로서 바른 것은?
/t, d, s, z, n, l/
해설)
08다음 음의 자질로서 바른 것은?
/ʃ, ʒ, ʧ, ʤ/
해설)
09두 괄호에 공통으로 들어갈 적절한 낱말은?
If the vocal cords are together, the airstream forces its way through and causes them to vibrate. Such sounds are (            ). [b] and [z] in buzz [bʌz] are two of the many (            ) sounds of English.
해설)
10다음 모음의 자질로서 바른 것은?
/i, ɪ, ɛ, æ/
해설)
11다음 모음의 자질로서 바른 것은?
/u, ʊ, o, ɔ, ɑ/
해설)
12smart /smɑ:rt/와 관련하여 설명이 틀린 것은?
해설)
13괄호에 들어갈 낱말로서 가장 바른 것은?
The term (            ) comes from poetry, where it refers to the metrical structure of verse. One of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poetry is the placement of stress on particular syllables, which defines the versification of the poem.
해설)
14다음 설명 중 바른 것은?
해설)
15다음 규칙에 해당하는 어휘로서 바른 것은?
[VX] → [N [VX] -al ]
해설)
16다음 밑줄친 부분이 지칭하는 예로서 바른 것은?
... For example, blick [blɪk] is not now an English word, but it could become one, whereas kbli [kbli] or ngos [ŋɔs] could not. Possible but nonoccurring words constitute accidental gaps and are nonsense words.
해설)
17singularities는 몇 개의 형태소로 구성된 낱말인가?
해설)
18다음의 결합이 형용사가 되는 것은?
해설)
19다음 괄호에 들어갈 적절한 낱말은?
Most morphemes are free in that they need not be attached to other morphemes; free, king, serf, and bore are ( a ) morphemes; -dom, as in freedom, kingdom, serfdom, and boredom, is a ( b ) morpheme.
해설)
20다음 중 접사결합의 순서가 바른 것은?
해설)
21밑줄친 접두사가 바른 것은?
해설)
22접사의 의미가 바른 것은?
해설)
23다음 글로 보아서 접사-able의 특성은 어떠한가?
The suffix -able appears to be a morpheme that can be conjoined with almost any verb to derive an adjective with the meaning of the verb and the meaning of -able, which is something like "able to be" as in acceptable, laughable, passable, changeable, breatheable, adaptable, and so on.
해설)
24복합어의 심층구조가 다른 하나를 골라내시오.
해설)
25다음 중 혼성어인 것은?
해설)
26다음은 어떤 무리의 어휘들인가?
doorknob, ashtray, painstaking
해설)
27다음의 구구조 규칙이 생성할 수 없는 명사구는?
NP → (Det) N (PP)
해설)
28다음의 구구조 규칙에 의하여 생성되는 동사구로서 바른 것은?
a. VP → V NP
b. NP → Det N S'
해설)
29다음 괄호 속에 들어갈 가장 적절한 말은?
The sentence The boy saw the man with the telescope is structurally (            ).
해설)
30다음의 두 규칙이 나타내는 바와 관련이 없는 것은?
a. NP → Det N PP
b. PP → P NP
해설)
31다음의 규칙과 관련하여 설명이 바른 것은?
구조기술:X --[V Prt]--NP--Y
.     1  2 3  4  5
구조변화: 1  2 Ø  4+3 5
해설)
32여격이동이 바르게 적용된 문장은?
해설)
33비주어 상승이 바르게 적용된 문장은?
해설)
34문장 (b)는 (a)에 무슨 규칙이 적용되어 유도된 것인가?
a. I expect that he will win.
b. I expect him to win.
해설)
35다음 중 바른 문장은?
a. John said that Lindai loved herselfi.
b. Johni said that Lindai loved himselfi.
c. John said that Lindai loved heri.
d. Johni said that Lindai loved himi.
해설)
문제답안
1243312431123244312424312433144123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