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M Library/☆ 기말시험 Data

방송대 방통대 고전시가론 기말시험 2017년도 1학기 3학년 / 올에이클래스 기출문제 모의고사

by DO, JINGWANG / ΛΙΙΛ™ 2024. 4. 20.
0-썸네일-고전시가론-기말-17-1-3
0-썸네일-고전시가론-기말-17-1-3
2017 학년도  1 학기  3 학년  35 문항
고전시가론
시험종류   :기말시험
출제위원   :방송대 손종흠
출제범위   :교재 및 강의 전 범위 [출석수업 범위(48~99쪽)는 제외]
자료출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웹앱제작   :올에이클래스 김현수
01현대시에 비해 시인―텍스트―독자의 관계가 긴밀한 것으로 파악되는 고전시가에서는 작가가 텍스트에 담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하는 것이 있다. 이것으로 가장 합당한 것은 무엇인가?
해설)
02호칭+명령-가정+위협의 주술유형은 시간적으로 수천 년이나 전승되고 공간적으로 범세계적 분포를 보이는 위압적 주술의 대표적 유형이라고 할 수 있는데, 우리 시가에서 대표적인 작품을 꼽는다면 무엇이 가장 합당한가?
해설)
03상대시가에서 볼 때 경험적 세계와 초경험적 세계의 분화가 가속화되고, 이에 따라 경험적 현실의 비중이 점차 증대되어 나가는 현상에 비추어, 모든 노래가 계속적으로 제의적 문맥 속에서 산출되리라는 것은 더욱 상상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황을 잘 보여주는 작품으로 가장 합당한 것은 무엇인가?
해설)
04다음 중에서 민족의 형성과 국가의 발생, 발전과정에서 나타난 공리적 서정시 계열에 넣을 수 있는 작품으로 가장 합당한 것은 무엇인가?
해설)
05노래를 창작할 때부터 왕실에서 사용할 목적으로 만들었을 것으로 생각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해설)
06비가악계 노래의 향유 전통과 관련하여, 나아가 한국시의 독자적 전통 확립과 관련하여 특히 주목해야 할 시기는 6∼7세기라고 할 수 있다. 이때는 비가악계 노래가 가악계 노래의 영향력을 압도하면서 시가문학의 실질적 주체로 부상해 나간 시기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시기에 중심적인 비가악계 노래로 떠오른 것은 무엇인가?
해설)
07다음 중에서 樂章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합당한 것은 무엇인가?
해설)
08악장은 언어형식에 따른 표기체계상의 차이에 의해 나누는 것이 가장 합리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나눌 때 악장의 유형적 명칭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 무엇인가?
해설)
09鄭道傳이 지은 국문악장인데, 도읍지로 정한 한양의 형세와 새 왕조의 번영을 기릴 목적으로 창작된 작품은 무엇인가?
해설)
10고려시대 시가의 명칭에 대해서는 여러 논의들이 있었다. 그 중에서 속요와 경기체가를 분리해야 한다는 견해를 바탕으로 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해설)
11조선시대 사대부들은 속요에 대해 淫褻之詞, 鄙理之詞, 淫詞 등으로 부르면서 詞理不載의 원칙을 세우기도 했다. 속요의 성격으로 볼 때 이것과 가장 깊은 관련을 가지는 것은 무엇으로 보아야 하는가?
해설)
12민간의 노래를 궁중의 음악으로 받아들여서 새롭게 만들어낸 수용층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 다음 중 무엇인가?
해설)
13궁중 무악으로 수용되는 과정에서 속요는 상당한 변개를 겪었을 것으로 보인다. 작품의 맨 앞에 임금의 만수무강을 찬양하는 頌禱의 내용이 담긴 가사를 첨부한 작품은 무엇인가?
해설)
14용비어천가는 뒷절이 종속적 기능을 수행하는 후렴구나 낙구의 성격에서 완전히 벗어나, 앞절과 뒷절이 대등한 자격으로까지 상승하는 방식을 만들어낸다. 이것은 어떤 형식으로 보는 것이 가장 타당한가?
해설)
15'이 시가에서 주목할 바는 장르로서의 통일성보다 한국시의 형성과정을 밝히는 데 필요한 변화의 양상을 추적하는 일일 것이다. 이 시가의 존립 근거가 형성기 한국시가의 전체상을 알고자 하는 역사적 관심에 있지, 특정한 미학적 국면에 주목하는 장르적 관심에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라는 말은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해설)
16'하나의 마디에 들어가는 글자의 길이를 서로 다르게 하는 力學的 不等化를 통해 형성되는 소리의 (            )을 기반으로 하는 음보율은 한편으로는 음수를 통해 차별화한 소리를 통해 일어난 內包의 극대화를 바탕으로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동일한 단위로 통일하여 均等化하는 外延의 극대화를 통해 새로운 의미를 창조하는 단계로 까지 나간다'에서 괄호 속에 들어갈 말로 가장 합당한 것은?
해설)
17시가를 형성하는 구성요소 중 둘 또는 그 이상의 語節로 이루어진 말뭉치로 주어와 서술어로 이루어진 통사적 단위의 하나인 節이나 文章의 성분이 되는 단위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해설)
18조선 시대의 악장 중 우리말로 부르는 향악곡에 얹어 부르기 위해 제작된 노래가사는 훈민정음의 창제로 인해 가능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해설)
19시가에서 율격을 완성하는 단위의 구성요소는 무엇으로 보는 것이 가장 합당한가?
해설)
20다음 중에서 형식의 본질적 성격을 말한 것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 무엇인가?
해설)
21속요의 行을 나눔에 있어서 첫 번째로 삼아야 할 기준은 무엇인가?
해설)
22속요를 이루는 형식적 구성요소 중 진행기능, 개괄기능, 분단기능 등을 중심으로 하는 단위는 무엇인가?
해설)
23다음 중에서 斂의 성격을 말한 내용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 무엇인가?
해설)
24조선 초기에 창작된 아악곡계 한문가사 작품들이 모두 정통의 한문악장에 해당하고, 당악곡으로 제작된 일부의 한문가사 역시 정통의 한문악장에 속하는데, 이 작품들이 수용한 詩體는 무엇으로 보는 것이 가장 타당한가?
해설)
25속요에서 쓰인 助興句 중에서 反語的 否定의 情緖表現을 돕기 위한 소리는 무엇인가?
해설)
26시조라는 명칭이 처음으로 등장하는 18세기의 기록인 關西樂府의 내용으로 볼 때 시조를 부르는 것이면서 기생이 부른 노래는 무엇으로 보는 것이 가장 합당한가?
해설)
27세 줄로 되어 있는 작품인 시조를 창으로 부르는 방법에는 크게 歌曲唱과 時調唱이 있다. 가곡창의 음악적 형식을 지칭하는 것으로 가장 타당한 것은 무엇인가?
해설)
28조선시대 사대부들은 평시조가 지니고 있는 완결의 구조를 살리면서도 한 수의 작품으로는 감당하기 어려운 긴 호흡의 내용이나 복합적 시상을 드러내기 위한 방법으로 연배열이라는 독특한 수법을 개발했다. 작품과 연배열 방식을 연결한 것 중에서 올바르지 못한 것은 무엇인가?
해설)
29조선시대 사대부 시조의 대표적 유형이면서 그들의 정신세계를 가장 집약적으로 내보이는 작품 유형은 무엇으로 보는 것이 가장 타당한가?
해설)
30조선시대 기녀의 시조에서 주류를 이루는 유형은 무엇으로 보는 것이 가장 타당한가?
해설)
31시조의 형성기라고 할 수 있는 조선 초기에는 정치적 불의에 항거하는 절의의 시조가 등장한다. 不事二君의 의리를 목숨보다 귀하게 여긴 충신들의 노래인데, 사육신이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 중에서 사육신에 들지도 못하면서 시조를 남기지도 않는 사람은 누구인가?
해설)
32四句八名의 形式, 對聯의 形式, 三段構成과 結詞의 形式, 循環的 時間의 形式이란 말은 무엇의 형식에 대한 것인가?
해설)
33가사의 내용을 중심으로 분류할 때 仙界指向意識과 浩然之氣 등을 노래한 것이 중심을 이루는 주제로 가장 합당한 것은 무엇인가?
해설)
34'(            )는 휘몰아치는 장단으로 부른다 하여, 붙여진 이름인데, 주로 工匠이와 같은 반직업적 소리꾼들에 의해 전승되었다. (            )는 사설시조를 원사로 하여 확장한 노래와 근대 전환기의 변화무쌍한 세태를 그리기 위해 새롭게 창작된 노래로 나눠 볼 수 있다. (            )는 장황하고 과장된 사설을 익살스러운 장단에 얹어 부르는데, 우스꽝스러운 상황을 장황하게 엮어내면서 자연스럽게 웃음을 유발한다'에서 괄호 속에 공통으로 들어갈 말은 무엇인가?
해설)
35조선 후기에 이르면 시조는 서울과 경향 각지로 확산되어 창으로 불리면서 각각의 특징을 형성했던 것으로 보인다. 지역과 창법의 특성을 연결시킨 것 중에서 올바르지 못한 것은 무엇인가?
해설)
문제답안
1334334332444422134213444334144444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