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M Library/☆ 기말시험 Data

방송대 방통대 언어와생활 기말시험 2019년도 1학기 4학년 / 올에이클래스 기출문제 모의고사

by AN, TAEMIN / ΛΙΙΛ™ 2024. 4. 20.
0-썸네일-언어와생활-기말-19-1-4
0-썸네일-언어와생활-기말-19-1-4
2019 학년도  1 학기  4 학년  35 문항
언어와생활
시험종류   :기말시험
출제위원   :방송대 고성환
출제범위   :교재 및 강의 전 범위
자료출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웹앱제작   :올에이클래스 김현수
01위의 (가)~(라) 중 맞춤법을 어기고 소리 나는 대로 적음으로써 경제성을 추구한 예는?
해설)
02위의 (가)~(라) 중 경제성 측면에서는 불리하더라도 강한 표현적 효과를 추구한 예는?
해설)
03위의 (가)~(라)와 같이 통신 언어가 보이는 문어로서의 일탈성을 통해 통신 언어 사용자가 얻고자 하는 것이라 하기 어려운 것은?
해설)
04다음의 신어 가운데 파생의 방식으로 형성된 것은?
해설)
05다음 중 통신 언어의 전형적인 특징들이 가장 적게 나타나는 영역은?
해설)
06다음 중 화자의 성별에 따라 어형이 분화되어 있는 예는?
해설)
07여성 발화어에 나타나는 문법적 특징이 아닌 것은?
해설)
08남녀 혼성 집단의 담화에서 나타나는 일반적인 경향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해설)
09다음 중 전통 사회에서의 여성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반영하고 있는 속담은?
해설)
10한글학회에서 펴낸 『큰사전』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해설)
11다음 중 사전의 표제어가 되기 어려운 말은?
해설)
12사전의 미시 구조에 포함되는 정보 중 '어휘 부류 정보'에 속하는 것은?
해설)
13사전 표제어의 성격에 따라서는 별도로 뜻풀이를 하지 않고 아래의 보기와 같이 다른 표제어를 참고하게 하는 경우가 있다. 그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가다03 「명」 '어깨01'의 잘못.
해설)
14다음은 북한의 『조선말대사전』에서 어떤 표제어에 대하여 제시하고 있는 뜻풀이(정의)이다. 이 표제어는?
주권을 잡은 로동계급의 당의 령도 밑에 혁명의 수도를 중심지로 하고 수도의 말을 기본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로동계급의 지향과 생활 감정에 맞게 혁명적으로 세련되고 아름답게 가꾸어진 언어.
해설)
15위 14번의 답에 해당하는 언어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해설)
16북한어의 어휘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해설)
17북한어의 규범에 대한 설명으로 바른 것은?
해설)
18평안도 방언의 특징을 바르게 말한 것은?
해설)
19번역과 관련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해설)
20영어 문장을 번역한 다음의 예 중 가장 자연스러운 것은?
해설)
21다음 중 일본어 피동 표현을 직역한 듯한 문장은?
해설)
22주체경어법이 실현된 다음의 문장 중 이른바 '간접 존대'의 예에 해당하는 것은?
해설)
23상대경어법의 등급 중 반말체(해체)가 사용된 문장은?
해설)
24현대 사회에서 경어법 결정 요인으로 작용하기 어려운 것은?
해설)
25다음 중 밑줄 친 말의 쓰임이 바르지 않은 것은?
해설)
26다음 중 경어법의 사용이 바르게 된 것은?
해설)
27직장 및 사회에서의 경어법 사용이 바람직하지 않은 것은?
해설)
28남자가 자신의 아내에게 처부모를 지칭할 때 적절하지 않은 말은?
해설)
29자녀가 있는 기혼 여성이 친구에게 자신의 남편을 지칭할 때 적절하지 않은 말은?
해설)
30남자가 여동생의 남편을 부르는 말로 바람직하지 않은 것은?
해설)
31친구의 어머니에 대한 호칭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것은?
해설)
32전화를 걸어 상대가 응답했을 때 자기를 밝히는 말로 적절한 것은?
해설)
33처음 만난 사람에게 자신을 소개하는 말로 가장 바람직한 것은?
해설)
34특별한 때에 하는 인사말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해설)
35결혼 청첩장을 작성할 때 유의해야 할 사항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해설)
문제답안
3214241312434132344121234132331424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