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M Library/☆ 기말시험 Data

방송대 방통대 언어와생활 기말시험 2019년도 1학기 2학년 / 올에이클래스 기출문제 모의고사

by AN, TAEMIN / ΛΙΙΛ™ 2024. 4. 20.
0-썸네일-언어와생활-기말-19-1-2
0-썸네일-언어와생활-기말-19-1-2
2019 학년도  1 학기  2 학년  35 문항
언어와생활
시험종류   :기말시험
출제위원   :방송대 고성환
출제범위   :교재 및 강의 전 범위
자료출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웹앱제작   :올에이클래스 김현수
36통신 언어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해설)
37밑줄 친 부분에서 경제적 동기보다 표현적 동기가 더 강하게 나타나는 것은?
해설)
38통신 언어가 사용되는 여러 가지 동기 중 아래의 예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政말류 이社ⓔ트 비러머契 것이였걷은孝. 울히 맘두 몰으固 울히 末乙 막宇 막高 지둘 맘댈吳 표주너를 쓸아구 學字. 여기 쥔長亞 李제 폭이하셔∼. ㅋㅋㅋ.
해설)
39통신 언어에 사용되는 다음의 신어 중 구 구성에서 각 어절의 첫 음절을 모아 만든 것은?
해설)
40통신 언어 중 '운영자 언어'의 특징이 아닌 것은?
해설)
41다음 중 화자의 성별에 따라 어형이 구별되는 예가 아닌 것은?
해설)
42여성 발화어에 나타나는 현상이 아닌 것은?
해설)
43다음 중 남녀에게 모두 잘 쓰이는 단어들로만 짝지어진 것은?
해설)
44다음 중 서양인에 의해 만들어진 사전은?
해설)
45사전에서 일정한 원칙에 따라 표제화된 표제항들의 전체 구조를 이르는 용어는?
해설)
46사전에서 한 표제어의 아래에 나열되는 정보 중 '의미론적 정보'에 속하지 않는 것은?
해설)
47우리나라에서 일반적으로 '국어사전'이라 부르는 것과 가장 거리가 먼 사전의 유형은?
해설)
48북한의 '말다듬기' 사업 과정에서 남북의 어휘 체계가 달라지게 된 요인의 하나로 볼 수 있는 것은?
해설)
49북한어(문화어)의 발음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해설)
50다음 중 북한의 말다듬기 사업에서 그 대상이 된 단어와 다듬은 말이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해설)
51다음의 북한의 속담 중 '부자'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반영되어 있지 않은 것은?
해설)
52다음 중 북한 사전에서 표제어를 배열할 때 가장 나중에 놓이는 자음은?
해설)
53영어 문장을 국어로 번역할 때 유의해야 할 사항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해설)
54다음 중 밑줄 친 부분의 시제를 고려할 때 번역이 어색한 것은?
해설)
55일본에서 서양어의 일부만을 잘라 만든 외래어가 국어에 그대로 들어와 쓰이는 예는?
해설)
56경어법은 일종의 규범이지만 화자가 의도적으로 규범을 벗어나는 경우가 있다. 그러한 예로 볼 수 있는 것은?
해설)
57다음 중 객체를 높이기 위해 사용하는 동사는?
해설)
58국어 경어법의 결정 요인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해설)
59다음 중 밑줄 친 말의 쓰임이 바르지 않은 것은?
해설)
60가정 안에서의 경어법에 대한 설명으로 바른 것은?
해설)
61자신의 어머니에 대하여 '어머님'이라고 할 수 없는 경우는?
해설)
62장인이나 장모가 사위를 부르는 말(호칭)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해설)
63여자가 시부모에게 자신의 남편을 지칭할 때 적절한 말은?
해설)
64남자가 자신의 아내를 부르는 말로 가장 바람직한 것은?
해설)
65남편의 형을 부르는 말인 '아주버님'으로 부를 수 있는 또 다른 사람은?
해설)
66직장에서 아래 직원을 부르고 가리킬 때 쓸 수 있는 말은?
해설)
67만나고 헤어질 때의 인사말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해설)
68직장에서 다른 회사로 전화를 걸어 자기를 밝힐 때 말하는 형식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해설)
69다음 중 가리키는 나이가 나머지 셋과 다른 말은?
해설)
70윗사람이나 높여서 대우해야 할 사람에게 편지를 쓸 때 편지 봉투에 받는 사람을 쓰는 바른 형식은?
해설)
문제답안
3112423143123421A34421312431442312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