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M Library/☆ 기말시험 Data

방송대 방통대 현대시론 기말시험 2019년도 2학기 3학년 / 올에이클래스 기출문제 모의고사

by KIM, HYUNSU / ΛΙΙΛ™ 2022. 10. 25.
0-썸네일-현대시론-기말-19-2-3
0-썸네일-현대시론-기말-19-2-3
올에이클래스 이용안내 이미지입니다. 올에이클래스는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제외한 크롬엔진 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원활히 이용가능합니다.
2019 학년도     2 학기     3 학년     35 문항
현대시론
시험종류   :기말시험
출제위원   :방송대 김신정
출제범위   :교재 및 멀티미디어 강의 전범위
자료출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웹앱제작   :올에이클래스 김현수

 

36다음 중 좁은 의미의 서정시 양식에 가장 가까운 것은?
37다음 중 시어에 대한 태도가 다른 하나는?
38다음 중 시어의 애매성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39다음 빈칸에 공통으로 들어갈 알맞은 단어는?
시는 단순한 의사소통의 도구에 머물렀던 언어의 본성을 회복하도록 해주며 그런 의미에서 시인은 말을 이용하거나 지배하는 것이 아니라 말에게 봉사하는 자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생각은 일상적인 언어가 그 참다운 본질에서 벗어나 있다는 생각을 내포하고 있다. 그것은 일상생활에서 언어가 단순히 의사소통의 도구로 이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시에서의 언어는 단순한 의사소통의 필요에 의해 억압되었던 본래의 모습, 즉 그 (      )을 회복한다. 대개의 시론에서 시의 언어가 (      )을 두드러지게 한다는 점을 강조하는 것은 이런 이유에서다.
40다음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41다음 중 '정서'에 대한 이론가들의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다음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42~43)
시는(서정시도!) (            )에 의하여서만 노래되고, (            )을 통해서만 독자에게 전해지는 것은 아니다. 그것은 두 개의 이유에 의하는 것으로 하나는 (            ), 정서와 더불어 이지(理智)를 가지고 있고, 이 양자로써 독자에게 호소하는 것이며, (            )이란 동물에 있는 것과 같은 온전한 생물적 본능의 발현(發現)이 아니라, 인간에게만 고유한 사유(思惟)와 지성(知性)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            )이란 인식과 판단의 단초이면서 또 그것에 의하여 확인되고 강화되며 자체를 현실화하는 것이다.
42위의 빈 칸에 공통으로 들어갈 말은?
43위와 같은 관점으로 시를 설명한 시인은?
44다음의 견해를 주장한 인물은?
과학이 알려주는 것은 현재 우리가 진정으로 추구해야 할 것을 오히려 은폐시킨다. 과학적 진리관은 과학의 본성상 우리가 실제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영역에서만 타당성을 지닐 뿐 존재자체의 진리를 밝히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은 것이다. 진정한 의미의 존재를 파악하기 위해서 현재의 철학적 사유는 주객도식의 체계에서 벗어나 예술과 새로운 관계를 맺어야만 한다. 예술로서의 시는 우리로 하여금 존재 그 자체와 관계를 맺을 수 있게 해주기 때문이다.
45다음 중 근대 자유시 양식이 등장하면서 일어난 변화는?
46다음 중, 나머지 셋과 그 의미가 다른 하나는?
47다음 중 음보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48다음 빈칸에 공통으로 들어갈 가장 적절한 용어는?
행과 연의 구별이 있는 시를 읽을 때 독자는 자연히 시행이 지시하는 율격적 질서에 따라 그 시를 읽게 된다. 행과 연에 따라 말소리의 흐름은 이어지기도 하고 일시적으로 정지되기도 한다. 이때 행과 행 사이, 연과 연 사이에 개입하는 (            )은(는), 말소리와 마찬가지로 시적 의미의 구축에 큰 영향을 미친다. 여기서 행과 행 사이, 연과 연 사이에서 나타나는 (            )은(는) 마치 음악을 연주할 때 연주 사이에 존재하는 침묵의 상태와 유사하다.
49다음 시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나는
오늘도 버스를 타고 먼지의 도시로 간다
나는 오늘도
버스를 타고 먼지의 도시로 간다
나는 오늘도 버스를
타고 먼지의 도시로 간다
나는 오늘도 버스를 타고
먼지의 도시로 간다
나는 오늘도 버스를 타고 먼지의
도시로 간다
나는 오늘도 버스를 타고 먼지의 도시로
간다
나는 오늘도 버스를 타고 먼지의 도시로 간다
- 이가림, 「오랑캐꽃7-물거품의 나날」 전문
50다음 중 화자의 유형이 다른 하나는?
51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시인은?
대표적인 이미지스트 중의 한 사람인 이 시인은 시를 통해 시각적 이미지의 피상성과 평면성을 극복하려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특히 간결하고 선명한 회화적 심상을 통해 도시적 감성과 시대의 우울을 그리는 데 주력했으며, 시각과 청각이 복합된 공감각적 이미지들을 통해서 시각적 이미지의 단순성을 벗어나서 이미지의 입체성을 획득하고자 했다.
52다음 중 비유적 이미지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53다음 중 선명한 시각적 이미지들을 통해 자신의 근대체험, 즉 근대를 넘어서고자 했던 지적 모험과 그 좌절의 경험을 생생하게 그려냈다고 평가받는 김기림의 작품은?
54다음 시 중 밑줄 친 부분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해와 하늘 빛이
문둥이는 서러워

보리밭에 달 뜨면
애기 하나 먹고

꽃처럼 붉은 우름을 밤새 우렀다
- 서정주, 「문둥이」 전문
55다음 빈 칸에 들어갈 가장 적절한 말은?
이육사 시의 "겨울은 강철로 된 무지개"(「절정」)와 기형도 시의 "하늘에는 벌써 튀밥 같은 별들이 떴다"(「위험한 가계ㆍ1969」)라는 표현은 매우 참신한 시적 비유인데, "겨울"과 "무지개", "튀밥"과 "별"은 (            )이 두드러져 보이는 대상이기 때문이다.
56다음 중 아이러니의 특징과 가장 관계가 것은?
57다음 중 치환은유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58다음 중 환유를 설명한 내용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59다음 중 패러디의 세 가지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60다음 중 극적 아이러니가 가장 잘 드러난 작품은?
61다음 중 메타시(meta-poetry)에 해당하는 것은?
62다음 중 동양의 자연관과 그 사고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63다음 중 청록파 시인의 자연 인식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64다음 글에서 설명하고 있는 이론가는?
(            )은(는) 심층 심리학자 융이 원형이라고 명명한, 인간 정신의 가장 깊은 심층을 지배하고 있다고 여겨지는 근본적인 이미지들을 다시 발견하는데, 이 원형은 상상력의 독자적인 작용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상상력은 외계의 어떤 대상들의 이미지라도 그것을 상상 가운데 언제나 어느 원형으로 역동적으로 변화시켜 나아간다.
65다음 시에 대한 비평적 감상에 해당되는 것은?
피아노에 앉은
여자의 두 손에서는
끊임없이
열 마리씩
스무 마리씩
신선한 물고기가
튀는 빛의 꼬리를 물고
쏟아진다.

나는 바다로 가서
가장 신나게 시퍼런
파도의 칼날 하나를
집어 들었다.
- 전봉건, 「피아노」 전문
66다음 중 '풍간(諷諫)' 정신을 계승한 시사적 흐름이라 보기 어려운 것은?
67다음 시의 주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
─ 긴 세월을 오랑캐와의 싸움에 살았다는 우리의 머언 조상들이 너를 불러 '오랑캐꽃'이라 했으니 어찌 보면 너의 뒷모양이 머리 태를 드리인 오랑캐의 뒷머리와도 같은 까닭이라 전한다 ─

아낙도 우두머리도 돌볼새 없이 갔단다
도래샘도 띳집도 버리고 강 건너로 쫓겨갔단다
고려 장군님 무지무지 처 드러와
오랑캐는 가랑잎처럼 굴러갔단다

구름이 모혀 골짝 골짝을 구름이 흘러
백 년이 몇 백 년이 뒤를 이어 흘러갔나

너는 오랑캐의 피 한 방울 받지않았건만
오랑캐꽃
너는 돌가마도 털메투리도 모르는 오랑캐꽃
두 팔로 햇빛을 막아줄게
울어보렴 목놓아 울어나 보렴 오랑캐꽃
- 이용악, 「오랑캐꽃」 전문
68다음 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관계가 것은?
벌레 먹은 두리기둥 빛 낡은 단청 풍경 소리 날아간 추녀 끝에는 산새도 비둘기도 둥주리를 마구 쳤다. 큰 나라 섬기다 거미줄 친 옥좌(玉座) 위엔 여의주 희롱하는 쌍룡 대신에 두 마리 봉황새를 틀어 올렸다. 어느 땐들 봉황이 울었으랴만 푸르른 하늘 및 추석을 밟고 가는 나의 그림자. 패옥 소리도 없었다. 품석(品石) 옆에서 정일품(正一品) 종구품(從九品) 어느 줄에도 나의 몸둘 곳은 바이 없었다. 눈물이 속된 줄을 모를 양이면 봉황새야 구천(九天)에 호곡하리라.
- 조지훈, 「봉황수」 전문
69다음 중 한국 시단의 모더니즘의 계보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70다음의 시를 읽는 방식 중 미시적인 읽기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중복답안 가이드
A1, 2E2, 4I1, 3, 4
B1, 3F3, 4J2, 3, 4
C1, 4G1, 2, 3K1, 2, 3, 4
D2, 3H1, 2, 4

No정답선택채점바로가기
362
374
382
391
403
412
422
434
442
451
462
474
484
493
503
514
523
531
541
552
564
572
581
592
602
613
622
631
643
654
663
672
681
691
70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