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M Library/☆ 기말시험 Data

방송대 방통대 현대시론 기말시험 2016년도 2학기 3학년 / 올에이클래스 기출문제 모의고사

by KIM, HYUNSU / ΛΙΙΛ™ 2022. 10. 25.
0-썸네일-현대시론-기말-16-2-3
0-썸네일-현대시론-기말-16-2-3
올에이클래스 이용안내 이미지입니다. 올에이클래스는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제외한 크롬엔진 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원활히 이용가능합니다.
2016 학년도     2 학기     3 학년     35 문항
현대시론
시험종류   :기말시험
출제위원   :방송대 김신정
출제범위   :교재 및 멀티미디어강의 전 범위
자료출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웹앱제작   :올에이클래스 김현수

 

36다음의 설명과 가장 거리가 것은?
현대의 '시'라는 명칭은 주로 개인 서정시라는, 과거에 비해 상대적으로 축소된 의미에서의 운문 문학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37다음 중 시어에 대한 태도가 다른 하나는?
38'시의 언어'를 설명하는 용어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39다음 진술 중 적절하지 않은 것은?
ⓐ 시를 어렵게 만드는 또 하나의 요인은 애매성이다. 영어로 'ambiguity'는 '밖으로 뻗음'과 '안으로 모임'의 적절한 조화상태를 의미한다. ⓑ 이는 '명백함'의 반대말로서 일반적인 글에서는 피해야 할 결함이지만, 시에서는 오히려 애매성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의미의 풍부함을 기할 수 있다. ⓒ 애매성은 '뜻 겹침'이라는 말로 번역되기도 한다. 하나의 문장이나 단어에 뜻이 겹쳐 있는 것과 의미자체가 불분명한 것은 무슨 의미인지 명확히 알 수 없음을 가리킨다. ⓓ 시어의 애매성은 의미가 불분명하다는 것이 아니라 여러 의미가 복잡하게 겹쳐 있어서 다양한 해석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을 가리킨다.
40다음 빈 칸 안에 들어갈 알맞은 단어는?
시의 재료가 되는 말의 존재를 강조하는 것은 시인에게 말이 단순한 의사소통의 도구나 기호가 아니라 그 이상의 것, 즉 프랑스의 철학자 사르트르가 주장한 것처럼 “외적 세계의 구조”로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것은 시인에게 있어서 말이 다른 예술의 재료와 마찬가지로 일종의 (            )(으)로서 존재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시인은 “언어를 소모하듯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언어가 진정으로 언어가 되어 머물도록 그렇게 사용”하는 것이다.
41다음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다음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42∼43)
시는(서정시도!) (            )에 의하여서만 노래되고, (            )을 통해서만 독자에게 전해지는 것은 아니다. 그것은 두 개의 이유에 의하는 것으로 하나는 (            ), 정서와 더불어 이지(理智)를 가지고 있고, 이 양자로써 독자에게 호소하는 것이며, (            )이란 동물에 있는 것과 같은 온전한 생물적 본능의 발현(發現)이 아니라, 인간에게만 고유한 사유(思惟)와 지성(知性)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            )이란 인식과 판단의 단초이면서 또 그것에 의하여 확인되고 강화되며 자체를 현실화하는 것이다.
42위의 빈 칸에 공통으로 들어갈 말은?
43위와 같은 관점으로 시를 설명한 시인은?
44다음에서 설명하는 내용과 가장 거리가 용어는?
독일의 시인이자 극작가인 브레이트는 시를 매개로 한 사유의 방식을 구체적으로 고민했다. 잘 알려진 사건이나 인물들을 작품 속에 작가가 낯설게 제시할 때, 독자는 “일단 그 사건이나 인물로부터 당연한 것, 익숙하게 알려진 것, 뻔한 것들을 없애고 그것에 관하여 놀랍고 호기심 어린 태도를 견지” 하게 된다. 이 같은 태도는 독자로 하여금 익숙한 현실의 이면을 사유하게 하고 사실적인 인식 획득에 도움을 줄 수 있다.
45다음 중 시에서 '낯설게 하기'를 실험적으로 시도한 대표적인 작품은?
46다음 중 시에 대한 엘리엇의 입장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
47다음 용어 중 화자에 대한 태도가 다른 하나는?
48다음 중 음보에 대한 설명은?
49다음 시에 나타난 화자의 유형은?
내 어지러운 마음에는 슬픔이며, 한탄이며, 가라앉을 것은 차츰 앙금이 되어 가라앉고,
외로운 생각만이 드는 때쯤 해서는,
더러 나줏손에 쌀랑쌀랑 싸락눈이 와서 문창을 치기도 하는 때도 있는데,
나는 이런 저녁에는 화로를 더욱 다가 끼며, 무릎을 꿇어 보며,
어니 먼 산 뒷옆에 바우섶에 따로 외로이 서서,
어두워 오는데 하이야니 눈을 맞을, 그 마른 잎새에는,
쌀랑쌀랑 소리도 나며 눈을 맞을,
그 드물다는 굳고 정한 갈매나무라는 나무를 생각하는 것이었다.
- 백석, 「남신의주유동박시봉방(南 新義州 柳洞 朴時逢方)」 부분
50다음 중 빈 칸에 공통으로 들어갈 알맞은 말은?
(            )을(를) 통해서 형성되는 시의 리듬은 “주의력의 환기, 암시성의 농축, 감수성의 증대, 시의 제 요소 결합 및 의미의 형성에 기여한다. (            )은(는) 일차적으로 뜻을 강조하는 한편 기억을 돕기 위한 것일 수 있다. (            )은(는) 리듬을 강화하고, 보충하고 심지어 대체하면서 시의 가장 기본적인 통합장치로 기능한다.
51다음 중 비유적 이미지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52다음 해설에서 빈 칸에 들어갈 시인의 이름을 순서대로 적절히 나열한 것은?
이미지는 그 자체로서가 아니라 시 전체의 문맥에 비추어짐으로써 비로소 구체화된다. 가령 서정주의 「자화상」, 윤동주의 「서시」, 김수영의 「풀」에서는 모두 바람의 이미지가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그 바람의 이미지는 결코 동일하지 않다. ( ㉠ )의 '바람'은 잎새를 가볍게 흔드는 미풍이나 별을 스치는 바람이다. 그것은 모든 존재를 제약하는 근원적인 삶의 조건, 혹은 이상을 꿈꾸는 것조차 힘들게 만드는 시대적 상황을 암시한다. 이에 비해 ( ㉡ )의 '바람'은 “비를 몰아오는 동풍”이라는 구절이 시사하듯이 습기를 머금은 바람이자 풀을 쓰러뜨리는 바람으로, 즉 풀과의 관계에서 양가적인 의미를 지닌다. 한편 ( ㉢ )의 '바람'은 한군데 매어놓을 수 없는 격렬한 대기의 유동으로서의 바람, 즉 돌개바람이나 돌풍, 혹은 태풍까지를 포함한다. 특히 바람의 이미지는 윤리와 이성으로 통제할 수 없는 격정과 격렬한 방황을 암시하는 것으로 읽힌다.
53다음 중 원형 상징이 잘 드러난 작품은?
54다음 빈 칸에 들어갈 가장 적절한 말은?
이육사 시의 “겨울은 강철로 된 무지개”(「절정」)와 기형도 시의 “하늘에는 벌써 튀밥 같은 별들이 떴다”(「위험한 가계ㆍ1969」)라는 표현은 매우 참신한 시적 비유인데, “겨울”과 “무지개”, “튀밥”과 “별”은 (            )이 두드러져 보이는 대상이기 때문이다.
55다음에 제시된 단어들을 포괄할 수 있는 용어는?
책상다리, 바늘귀, 산허리, 병목, 인생의 황혼기, 역사의 강물
56다음 시에 사용된 은유를 설명한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군중들 속에서 환영처럼 나타나는 이 얼굴들
축축한, 검은 가지에 매달린 꽃잎들
- 에즈라 파운드, 「지하철 역에서」 전문
57다음 중 상징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58다음 중 과학의 언어나 관습적 상징처럼 공식적 정확성을 갖으며, 사회에서 관습적으로 쓰여서 그 의미 해석의 테두리가 한정되어 있는 상징을 일컫는 말은?
59다음 중 아이러니를 설명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 본래 아이러니의 어원인 '에이로네이아(eoroneia)'는 '에이론(eiron)'이라는 희극적 인물에 의한 진술방식을 가리키는데, 이러한 에이론의 진술은 '은폐하기, 속이기, 시치미 떼기'를 통해 이루어진다. ⓑ 에이론이 그러한 진술 전략을 사용하는 것은 '알라존(alazon)'이라는 상대를 이기기 위해서이다. 알라존은 에이론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강하지만, 자만심에 빠진, 실제로는 우둔한 인물이다. ⓒ 반면에 알라존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약하지만 영리한 에이론은 겸손을 '가장'함으로써 결국에는 알라존을 굴복시키고 승리한다. ⓓ 그런 의미에서 최초의 에이론으로 언급되는 사람이 플라톤이다. 플라톤은 무지를 가장한 채 상대방에게 접근하여 엉뚱해 보이는 질문을 던지고 의문을 제시함으로써 상대방이 결국에는 자신의 무지를 고백하고 자각하도록 만드는 전략을 구사한 인물이다.
60다음 중 '포괄의 시'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61다음 중 극적 아이러니가 가장 잘 드러난 작품은?
62다음 중 시인이 작품을 창작할 때 전통적인 문학의 소재나 문체, 양식 등을 빌려 와서 자기 작품의 개성을 강화하려는 기법은?
63다음 중 메타시(meta-poetry)에 해당하는 것은?
64다음 중 패러디의 세 가지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65다음 중 동양의 자연관과 거리가 것은?
66다음 글에서 설명하고 있는 이론가는?
(            )은(는) 심층 심리학자 융이 원형이라고 명명한, 인간 정신의 가장 깊은 심층을 지배하고 있다고 여겨지는 근본적인 이미지들을 다시 발견하는데, 이 원형은 상상력의 독자적인 작용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상상력은 외계의 어떤 대상들의 이미지라도 그것을 상상 가운데 언제나 어느 원형으로 역동적으로 변화시켜 나아간다.
67다음 중 '풍간(諷諫)' 정신을 계승한 시사적 흐름이라 보기 어려운 것은?
68다음 중 근대적 연애시의 특성이라고 보기 어려운 것은?
69다음 빈 칸 안에 들어갈 단어 중 적절하지 않은 것은?
ⓐ (            )을 포함하는 모더니즘은 감정표현에 치중하는 ⓑ (            )를 부정하고 아이러니와 역설 등 지적 통찰이 요구되는 기교적 측면을 강조하기 때문에, ⓒ (            )적인 경향과 맞닿아 있다. 이러한 모더니즘은 지성적 비평가들의 지원을 통해서 성장하였는데, 특히 러시아의 ⓓ (            )과 미국의 신비평에서 다양한 이론적 지원을 받았다. 이들 비평가에 의해서 한동안 추락하였던 시의 위상이 순간적으로 상승할 수 있었는데, 그것은 이들 비평가들이 문학의 본질을 주로 시에서 발견하고 하였기 때문이다.
70다음의 시를 읽는 방식 중 미시적인 읽기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중복답안 가이드
A1, 2E2, 4I1, 3, 4
B1, 3F3, 4J2, 3, 4
C1, 4G1, 2, 3K1, 2, 3, 4
D2, 3H1, 2, 4

No정답선택채점바로가기
364
373
383
39B
403
414
421
433
444
451
462
471
482
491
502
514
521
534
543
552
563
573
581
594
602
613
621
633
644
652
662
674
682
694
70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