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M Library/☆ 기말시험 Data

방송대 방통대 세상읽기와논술 기말시험 기출문제 2017년도 1학기 2학년 / 올에이클래스 모의고사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21. 6. 17.
0-썸네일-세상읽기와논술-기말-17-1-2
0-썸네일-세상읽기와논술-기말-17-1-2
2017 학년도  1 학기  2 학년  35 문항
세상읽기와논술
시험종류   :기말시험
출제위원   :성균관대 박정하, 방송대 이정호
출제범위   :교재 1장~15장 전범위
자료출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웹앱제작   :올에이클래스 김현수
01논술에 대한 여러 정의 중 가장 부적절한 것은?
해설)
02비판적 사고에 대한 설명 중 가장 부적절한 것은?
해설)
03비판적 사고는 왜 필요한지에 대한 답으로 가장 부적절한 것은?
해설)
04글의 논증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서 밟아야 할 단계 중 세 번째 단계에 해당하는 것은?
해설)
05분석적 이해 1 단계에 해당하는 작업은?
해설)
06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신자유주의 교육정책의 도입을 주장하는 글을 요약하려고 할 때, 가장 중점적으로 분석해야 할 두 문단은?
문단 1:신자유주의 교육정책의 내용 설명
문단 2:신자유주의 교육정책을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
문단 3:교육의 질은 경쟁을 통해서만 향상된다는 논거 제시
문단 4:교육의 질을 향상시킨 사례 예시
해설)
07분석적 이해의 3단계와 관련된 설명 중 부적절한 것은?
해설)
08비판적 평가에 포함되지 않는 작업은?
해설)
09비판적 평가의 1단계에 대한 설명으로 부적절한 것은?
해설)
10논의에 필요한 내용을 남김없이 고려하였는지 검토하는 기준은?
해설)
11학습의 3단계 중 각 단계의 특징으로 적절한 것은?
해설)
12창의성과 관련된 설명 중 부적절한 것은?
해설)
13다각적 접근을 통한 해결책 제시 방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
해설)
14연관주의적 관점이 아닌 것은?
해설)
15비판적 읽기에 대한 내용으로 적절한 것은?
해설)
16여성혐오 구조의 특징이 아닌 것은?
해설)
17다음의 설명 중 적합한 것은?
해설)
18다음 중 보편복지 원칙에 대한 설명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해설)
19논제 파악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해설)
20개요 짜기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해설)
21다음 중 용어에 대한 설명이 바르지 않은 것은?
해설)
22서론 쓰기에 대해 잘못 설명한 것은?
해설)
23오리엔탈리즘에 대한 설명 중 바르지 않은 것은?
해설)
24본론쓰기의 방법으로 적절한 것은?
해설)
25포스트휴먼에 관한 설명 중 바르지 않은 것은?
해설)
26토론 및 설득에 관한 설명 중 바르지 않은 것은?
해설)
27다음 중 논술의 기본 요소에 속하는 것만으로 짝 지은 것은?
해설)
28“사회 복지 예산을 줄여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정부는 엄청난 재정 적자를 감수해야 한다.”는 주장이 범한 오류는?
해설)
29세금 인상을 “정부의 세입 증대”로 표현하는 것은 비논증적 설득 중 어디에 해당하는가?
해설)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하이젠베르크:내가 보기에 플랑크는 종교와 자연과학이 잘 조화될 수 있다고 생각한 것 같습니다. 자연과학은 객관적인 물질세계를 다루고, 종교는 가치의 세계를 다룹니다. 자연과학에서는 맞느냐 틀리느냐가 문제이고, 종교에서는 선이냐 악이냐 또는 가치가 있느냐 없느냐가 문제입니다. 플랑크에게는 세계의 객관적인 면과 주관적인 면이 아주 훌륭하게 분리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이 같은 분리는 저로서는 잘 납득되지 않습니다. 지식과 신앙의 이러한 분열이 얼마나 오래 갈 수 있을지 의심스럽습니다.
볼프강 파울리:그렇습니다. 머지않은 장래에 지금의 종교에서 보이는 비유와 상징이 아무런 설득력을 갖지 못하는 때가 올지도 모릅니다. 그렇게 되면 플랑크의 철학은 큰 역할을 하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나는 아인슈타인의 견해가 더 마음에 듭니다. 아인슈타인에게는 과학과 종교 사이에 어떠한 분리도 없습니다. 그에게 세계의 중심 질서는 주관적인 동시에 객관적인 영역에 속하는 것입니다.
폴 디랙:나는 이 자리에서 도대체 왜 종교에 관해 논해야 하는지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신'이라는 개념은 인간 환상의 산물에 불과합니다. 지금과 같이 자연의 연관성을 통찰하고 있는 세계에서는 더 이상 그런 표상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내가 믿을 수 있는 것은 참된 것뿐입니다. 내가 어떻게 행동해야 하느냐는 것은 그때 내가 처한 상황에서 순전히 이성만을 가지고 결정할 수 있습니다.
30이 대화의 핵심 쟁점은?
해설)
31다음 중 플랑크의 견해로 볼 수 없는 것은?
해설)
32다음 중 파울리의 견해는?
해설)
33소크라테스가 『국가』 편 1권에서 전개된 토론의 결과에 대해 불만족스러워한 이유는?
해설)
34(            ) 안에 공통적으로 들어갈 가장 적당한 낱말은?
사람의 본질, 인간정신의 본질은 (            )이다. (            )(은)는 타성을 끝없이 거부하는 힘이되, (            )(을)를 사람다운 (            )(으)로 규정하고 있는 것이 바로 지성이다. 이런 점에서 진정한 (            )(은)는 지적(知的) 긴장이다.
해설)
35다음 중 플라톤이 말한 “도덕은 지식이다”라는 말의 의미를 가장 잘 나타내고 있는 것은?
해설)
문제답안
32324212124433434232124421231422431

댓글